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신기술 News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관련 기술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신기술 NEWS 상세보기
제목 [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 탄소중립을 위한 실마리, 해양에서 찾다!

탄소중립을 위한 실마리, 해양에서 찾다!

- 해양플랑크톤 군집 내 높은 탄소보유량 가지는 먹이망 구조 밝혀내 -

 

 

□ 국내 연구진이 해양생태계의 먹이망 구조*를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냈다.

* 먹이망 구조 : 생태계에서 여러 생물의 먹이 사슬(피·포식 관계)이 그물망처럼 이루어져 있는 먹이 관계.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정해진 교수(서울대학교)팀이 이끌고, 서울대 강희창 박사, 포항공대 이기택 교수, 전남대 김광용 교수 등이 참여한 국내 공동연구진이 해양 플랑크톤* 군집 내 높은 탄소보유량**을 가지는 먹이망 구조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 해양 플랑크톤 : 해양 표층 근방에 서식하는 작은 생물들. 해양에서 이산화탄소 흡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식물플랑크톤, 이들을 잡아먹는 단세포성 원생동물플랑크톤, 원생동물플랑크톤을 잡아먹고 어패류의 먹이가 되는 후생동물플랑크톤, 유기물을 분해하는 박테리아성 플랑크톤으로 구성되어있다.

** 탄소보유량 : 생물의 유기탄소 보유량.

 

□ 탄소중립은 탄소의 발생량과 흡수량이 같아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산업 활동으로 발생하는 탄소량을 급격히 감소시킬 수 없다면 흡수를 늘리는 방법으로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에 대기 내 이산화탄소의 25%를 흡수하는 해양의 역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지만, 전 세계 해양 광합성 생물의 탄소 보유량이 육상 광합성 생물의 1%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 연구팀은 해양생태계 먹이망의 근간이 되는 해양플랑크톤 군집 내의 먹이망 구조에 주목, 전 세계 해양에서 채집·분석된 자료를 이용하여 어떤 먹이망 구조가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하는지를 밝혀냈다.

○ 총 6,954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식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이 가장 높은 피라미드 구조가 57%로 제일 많았다. 다음으로는 단세포 원생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이 가장 높은 다이아몬드 구조가 31%로 두 번째로 많았고, 다세포 후생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이 가장 높은 역피라미드 구조가 13%로 가장 적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

○ 아울러 먹이망 구조가 피라미드인 경우에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 정해진 교수는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하는 먹이망 구조가 식물플랑크톤>원생동물플랑크톤>후생동물플랑크톤의 피라미드 구조로 밝혀졌으므로 식물플랑크톤을 늘리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무해성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늘리고 이를 잘 포식하는 원생동물플랑크톤의 양도 늘리는 방법을 찾는다면 해양생태계 내 탄소보유량을 늘리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제1저자인 강희창 박사는 “어떤 먹이망 구조가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하는지를 세계 최초로 밝힘으로써 앞으로 해양에 흡수되는 탄소량과 해양 생물 내 탄소보유량을 늘리는데 핵심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해양-육상-대기 탄소순환시스템 연구사업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적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12월 16일 게재되었다.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기술동향
Category Tech trends(Korea)
출처 한국연구재단
신기술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청정수소 생산, 해외 기술격차 넘어 선도해 나간다
다음글 [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 석유 대체할 탄소중립 연료, 폐목재로 만든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