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환경부] 기후변화 대응과 물 위기 해소를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앞장선다

 

기후변화 대응과 물 위기 해소를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앞장선다

-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삼성전자, 에스케이하이닉스, 엘지전자, 포스코, 네이버, 씨디피코리아 물 위기 해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환경부가 국내 대기업과 함께 기후변화로 인한 물 위기와 이를 해결하려는 ‘국제사회의 구상(글로벌 이니셔티브)’에 주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손을 맞잡는다.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한국수자원공사(사장 윤석대)는 3월 22일 오후 대전컨벤션센터(대전 유성구 소재)에서 삼성전자, 에스케이하이닉스, 엘지전자, 포스코, 네이버, 씨디피코리아(CDP Korea)와 기후변화 대응과 물 위기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 공공기관, 기업, 민간단체가 기후변화로 인한 물 위기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사용한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Water Positive)’ 구상에 주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 통상 기업이 사용(취수)량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 지속 가능한 물관리에 기여한다는 개념으로 기업 내 용수 활용성 제고, 하·폐수 처리수 재이용, 유역 수질개선, 유역 내 수자원 추가확보 등의 다양한 활동을 포함함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극한가뭄 등 기후변화로 인해 수자원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한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전략산업 육성으로 미래의 물 수요는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산업공정 전반의 필수 자원이자 대체재가 없는 자원인 물의 고갈은 전 세계 산업에 실체적인 위기로 다가오고 있다.

 

 

  유엔은 지난해 3월 미국 뉴욕에 있는 유엔본부에서 ‘워터 컨퍼런스(Water Conference)’를 개최하여 국제사회의 물 위기 극복을 난제(難題)로 인식하고, 위기 대응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혁신적인 노력을 요구한 바 있다. 유엔이 물 위기를 공식 의제로 다룬 것은 1977년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 회의 이후 46년 만에 처음이다.

  

  이번 협약체결로 국가적인 물 위기 해소를 위한 전환점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지속 가능한 물관리를 위한 민관 협력과제를 발굴하고 협의체를 통해 이행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물관리 모범사례를 만들기 위한 정책적 노력도 아끼지 않을 것이다. 특히 올해는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삼성전자와 협업하여 물관리 시범사업을 선정하고 추진할 예정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기후위기 시대에 물 문제는 기업의 경쟁력 확보와 직결된 현안”이라며, “물 관리 해법을 환경부와 기업, 공공기관이 함께 만들고, 물 위기 해소를 위한 ‘국제사회의 구상(글로벌 이니셔티브)’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  업무협약 개요 .

      2.  워터포지티브 개념 및 주요 글로벌 기업 동향.   끝

 

 

담당 부서

환경부

책임자

과  장

이정용

(044-201-7140)

 

물이용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이희선

(044-201-7146)

 

한국수자원공사

책임자

부  장

배영대

(042-629-2380)

 

신성장전략단

담당자

차  장

박별님

(042-629-2387)

 

 

붙임 1 

 

 업무협약 개요

 

 1 추진 배경

 

  ○ (배경) 전 세계 물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기후 위기와 인프라 노후화 등으로 공급 안정성은 크게 떨어져 물 위기 전망(UN, OECD 등)

 

  ○ (필요성) 국내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물 재이용 확대, 물 복원 사업 등을 추진 중이나 대다수 기업은 물 위기 인식, 대응 여건 미흡

 

 2 추진 방안

     

  ○ (추진방향) 기후변화로 인한 물 리스크 인식 제고 및 공동 대응 강화를 위한 민․관․공 협의체를 구성하여 단계별 협력방안 마련

             

                     

 

  ○ (협력사업)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장·단기 사업을 발굴, 기업과 실시협약 체결 후 사업 추진 

 

      ※ ’24년도에는 삼성전자와 실시협약을 체결하여 워터포지티브 시범사업 추진

 

 3 협약식 개요

 

  ○ (장소․시간) ’24.3.22(금) 14:00~14:45 / 대전 DCC (제1전시장 2층)

 

  ○ (협약기관) 환경부, K-water, 주요 기업*, 민간기구(CDP Korea)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POSCO, NAVER

 

  ○ (협약내용) 물 위기 해소를 위한 다각적 협력 활동 및 공동 대응

 

▪ 기후변화로 인한 물 리스크 인식 제고 및 공동 대응 강화

▪ 유역 내 물 확보, 수질개선 사업 등 지속 가능한 물관리 협력과제 발굴 및 추진

▪ 물관리 모범사례 발굴·확산을 위한 인센티브 및 R&D 추진 등 정책지원

▪ Water Positive 등 물 분야 주요 국제협력 이니셔티브 적극 대응

  

시 간

내 용

비 고

14:00∼14:10

(`10)

접견 및 환담

2층 VIP 대기실

14:10∼14:14

(` 4)

개회 및 참석자 소개

사회자

14:14∼14:30

(`16)

인사말씀(각 1분30초)

 

14:30∼14:40

(`10)

협약서 서명

MOU 설명(사회자)

14:40∼14:45

(` 5)

기념 촬영 및 폐회

-

 

 

 

붙임 2 

 

 워터포지티브 개념 및 주요 글로벌 기업 동향

 

□ 워터포지티브(Water Positive) 개념

 

 ◦ (개요) 통상 기업이 사용(취수)량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 지속 가능한 물관리에 기여한다는 개념

 

 ◦ (활동) 기업 내 용수 활용성 제고, 하·폐수 처리수 재이용, 유역 수질개선, 유역 내 수자원 추가확보 등의 다양한 활동 포함

 

            

구 분

주요내용

Water efficiency

(물 사용량 저감)

누수 탐지, 수리, 물 재이용, 물 절약형 제품 등을 활용하여 물 사용량 저감(물 절약, 재이용 등)

Water replenishment

(물 보충)

수자원이 부족한 지역에 수질과 수량을 회복하거나 개선하는 프로젝트에 투자(빗물사용, 지하수 함양, 습지 복원 등)

Community engagement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와 함께 협력하여 모든 사람에게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보장

 

 ◦ (현황) 물 위기 대응을 위한 개념 도입 단계로 사용량, 방류량 및 복원량에 대한 명확한 정의나 산정기준, 인증방식 등 미정립

 

□ 주요 글로벌 기업 동향

  

 ◦ MS, 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은 물 사용량 절감과 협력업체를 포함한 공급망 전반의 효율적 물관리로 ‘워터포지티브’ 추진

 

    

기업

주요전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0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5pixel, 세로 131pixel

- ‘30년까지 Water Positive 달성

- 물소비 절감․재이용, 공급망 디지털 활용 물관리기술 지원, 피닉스 지하수 복원, 콜로라도 가뭄 대응 등 물 보존 투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0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9pixel, 세로 331pixel

- 협력업체의 담수 의존도 감소 지원, 물 소비 데이터 제공 요구

-동절기, 오리건주 프라인빌 데이터센터에 물을 대수층에 저장(약38만톤)하여 건조한 여름에 대응하는 등 지역유역 물문제 개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08024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2pixel, 세로 154pixel

- ‘30년까지 소비되는 물의 120% 회복 추진

- 데이터센터 물사용 개선, 캘리포니아 자연습지 조성, 애리조나 수자원 보전 기부(3개년 500억원) 등 지역 물문제 개선, 홍수 예측 시스템 개발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환경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외교부] 2024 세계유산 국제회의 개최
다음글 [산림청] 지역문화시설 국산목재로 바꿔드립니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