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국내동향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미니 산업단지' 육성배경과 환경대책
  정부가 도시근교에 `미니 산업단지´ 를 본격 육성키로 함에 따라 앞으로 전자와 반도체 등 지식형 첨단산업들의 공장설립 여건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다만 도시근교에 미니 산업단지가 대거 들어설 경우 어느 정도의 도시 및 주거 환경 훼손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돼 이에따른 철저한 대책마련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정부는 미니 산업단지에 공해업종이 아닌 무공해 첨단업종이 들어서는데다 현재 도시근교에 난립돼 있는 소규모 공장들을 한곳에 묶어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난개발 억제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입장이다.

◆미니 산업단지 육성배경 = 도시근교에 미니 산업단지를 본격 육성키로 한 것과 관련해 정부는 한마디로 산업구조가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즉, 산업구조가 석유화학이나 철강 등 공해를 많이 유발하는 업종에서 전자와 반도체,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 등 무공해 산업으로 빠르게 바뀌고 있는 만큼 국제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업종들을 적극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논리다.

  정부가 이번에 산업단지 최소 면적기준을 현행 15만㎡(약 4만5천평)이상에서 3만㎡(9천90평) 이상으로 대폭 낮춰 도시근교의 산업단지를 집중 육성키로 한 것도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업종들을 겨냥한 것이다.

  전자와 반도체 등 지식형 첨단산업들은 기반시설이 잘 갖춰진 도시근교를 선호하고 있으며 지금도 상당수 소규모 공장들이 도시근교를 중심으로 난립해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이러한 공장들을 하나로 묶어 체계적으로 개발, 관리하겠다는 계산이다.

  기존의 국가산업단지 및 지방산업단지가 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어 기업들이 입주를 꺼리는 이유도 미니 산업단지 육성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실제 상당수 국가 및 지방 산업단지는 현재 기업들이 거의 입주하지 않아 미분양이 심각한 수준으로, 정부는 지난해부터 500억원을 투입해 미분양 산업단지에 국민임대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까지 추진하고 있다.

  한편 정부가 이처럼 산업단지 최소 면적기준을 3만㎡ 이상으로 크게 낮추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민간업체들도 앞으로 원하는 지역에 소규모 산업단지를 지을 수 있게 된다.

  지금은 산업단지 최소 면적기준이 너무 높아 민간업체들의 경우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싶어도 비용이 많이 들어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도시근교에 미니 산업단지가 들어서면 물류비용 절감 등의 부대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대책 = 도시근교에 미니 산업단지가 조성되면 일정 정도의 환경훼손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무공해 첨단업종이 들어선다 하더라도 각종 관련시설 및 부대업종들이 들어서면서 개발이 가속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단체 관계자들은 "미니 산업단지가 무공해 업종 중심으로 조성된다 하더라도 일단 산업단지가 들어서면 그 주변지역은 개발압력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면서 "어느 정도의 환경훼손은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미니 산업단지가 새로운 산지나 녹지가 아닌 기존의 공장터에 들어서는 것이기 때문에 개발로 인한 환경파괴는 그다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오히려 전자와 반도체 등 첨단업종이 들어서는데다 현재 도시근교에 난립해 있는 소규모 공장들을 한곳에 묶어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난개발을 막을 수 있다는게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 관계자는 "미니 산업단지 조성계획은 기존의 소규모 시설들을 재정비하는 성격도 띠고 있다"면서 "미니 산업단지에 녹지를 새로 조성하는 등 친환경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
출처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분당구, 대형폐기물 배출 인터넷 신고제 실시
다음글 조류예보제 실시대상 호소 확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