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국내동향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폐 플라스틱 연료화의 길 열려
◇ 환경부,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고형연료제품(RPF)" 품질·규격기준 마련 고시(`03.8.2) ◇ 중·장기적으로 폐플라스틱 50%(250만톤) 연료화로 유연탄 등 수입대체 및 년간 5,000억원의 환경적·경제적 효과 기대
■ 환경부는 그간 물질적으로 재활용(Material Recycling) 하는 것이 어려워 대부분 매립 또는 단순 소각처리 하여왔던 혼합 및 복합재질 폐플라스틱을 고형화하여 연료화(RPF : Refused Plastic Fuel) 할 수 있는 품질·규격기준을 마련, 이를 8월 2일자로 확정, 고시하였다. ○ 품질·규격기준 내용을 보면 중량기준으로 폐플라스틱 함량이 60%이상, 직경이 50mm이하, 길이가 100mm이하, 발열량은 ㎏당 6,000㎉ 이상, HCL(염화수소)농도가 1,000PPM이하 및 수분함량이 10%이하 인 것으로 정했다.
■ 그간 국내 폐플라스틱의 연간발생량은 400∼500만톤으로 이 가운데 15% 정도만이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매립처리 되는 등 귀중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가중시켜 왔다.
■ 이에 따라 환경부는 이러한 폐플라스틱을 파쇄, 성형, 건조 등 일정한 공정을 거쳐 발열량이 높고(6,000kcal/kg 이상) 일정하며, 배출가스 등 환경특성과 연소특성이 우수한 고형연료를 제조하여 발전소, 시멘트 킬른, 대형산업용 보일러 등의 석탄 대체 보조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처럼 단순 소각, 매립되던 폐플라스틱을 앞으로 발생량의 50%(250만톤)를 연료화할 경우에는, 년간 총 5,000억원의 직접적 이익과 대기오염물질 저감으로 인한 막대한 환경편익이 기대된다.
■ 환경부는 이와 아울러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고형연료제품에 대한 엄격한 제품 품질기준과 유통, 사용체계를 구축하여, 비정상적로 제조, 유통,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하여 우선, 생산제품에 대해서는 국립환경연구원, 산업기술시험원 등 전문시험기관을 통한 시험을 거쳐, 합격한 제품만 품질을 인증해주는 품질인증제도를 도입하였으며, ○ 대기오염방지시설이 갖추어진 발전소, 대형산업용보일러, 시멘트 킬른 및 제철소, 그리고 대형 전용사용시설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대기오염을 사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 고형연료제품 제조시설 설치시에는 관할구역 시·군·구에 재활용신고를 하도록 하여 불법적인 제조시설 방지하고, 제품 공급시에도 관할 시·군·구에 RPF 사용자와 생산자간에 공급계약서를 작성·제출토록 의무화하는 등 폐플라스틱 고형연료가 적정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하였다.
※ 붙 임 1. 폐플라스틱 고형연료의 경제적효과 분석 1부 2. 폐플라스틱 실물사진1부 끝.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
출처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오수·분뇨및축산폐수의처리에관한법률 시행령 개정·공포
다음글 참여정부의 환경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여론조사 실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