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국내동향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환경부] (참고) 원전 등 무탄소에너지 증가 추세, 탄소배출 지속 감소

 

원전 등 무탄소에너지 증가 추세, 탄소배출 지속 감소

 

  - 팬데믹 종결로 경제활동 회복됐지만, 무탄소에너지 확대로 감축 추세 지속

  - 증가된 무탄소 발전량(68.1TWh) 중 원전이 69%, 신재생이 31%

  - 경제규모 지금 70%이던 2010년 수준으로 대폭 줄이는 데 성공

  - 정부, 탄소중립 100대 기술 추진, 450조+α 투입해 녹색경쟁력 강화

 

□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 위원회(공동위원장 :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 및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제1차 격년투명성보고서(BTR) 및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의 수립 추진을 위해 2018년 이후 2023년까지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전원별 발전량(2023년은 한전 월보 참고), 주요 업종 제품 생산량 등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 요지를 설명드림

 

 ㅇ 분석한 결과는 앞으로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정책을 실행해 나가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예정임

 

□ 원전 복원, 재생에너지의 합리적 확대 등을 중심으로 한 무탄소에너지 전환 정책 등으로 전환 부문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발생하고 있음

 

 ㅇ 팬데믹 종료 이후 전력수요 정상화로 총 발전량이 증가했으나 무탄소에너지 보급 확대 등으로 2022년 전환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억 1천 390만 톤으로 △4.4%가 감소함

 

 ㅇ 또한 2023년 배출량은 약 2억 4백만 톤으로 △4.8%가 추가 감소(‘18년 대비 △24.1%)하여 2년 연속 감소가 예상됨

 

 ㅇ 2018년 이후 무탄소 발전 증가량*(68.1TWh)으로 전력 소비량 증가(+17TWh) 충당, 석탄발전 가동축소 등이 전환 부문 탄소감축(△24.1%)에 영향을 미침

 

    * 무탄소 발전 증가량 중 원자력 발전 47TWh(69%), 신재생 발전 21.1TWh(31%)

 

 ㅇ 정부는 이러한 에너지전환의 실효성을 바탕으로 ‘무탄소에너지 주류화(CFE 이니셔티브)’의 국제적 확산도 함께 지원할 계획임

 

□ 또한 산업 부문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도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함

 

    ※ △노후 고로 폐쇄(철강), △보일러 연료전환(정유), △불소처리 증가(반도체) 등 산업계는 체질 개선 노력

 

 ㅇ 정부는 보다 강도 높은 감축을 위하여 탄소중립 100대 기술 개발 및 수소환원제철 실증(철강) 등을 추진하고 산업 부문의 녹색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녹색자금을 450조 원 이상 지원할 계획임

 

□ 2022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잠정치)은 전년 대비 2천 210만톤 감소한 6억 5천 4백만 톤으로 2010년의 6억 5천 510만 톤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2023년 주요 4대 부문(전환, 산업, 건물, 수송)에서 전년 대비 약 1천 727만 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추가로 감축될 것으로 예상됨

 

    * 무탄소에너지 발전량, 도시가스 사용량, 수송연료 사용량 간접지표 변화로 추정

 

□ 탄소배출이 많은 일부 선진 국가는 감축경로를 지키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우리나라 및 영국, 일본 등은 2050 탄소중립을 향한 선형 경로에 따라 감축하고 있음

 

□ 정부는 기존 2030 국가 감축목표(’21.10)에 포함된 비현실적 감축수단*을 에너지 전원별 비중 개선**, 산업 부문의 연‧원료 전환 비중 조정 등을 반영·보완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실현 가능성을 제고한 바 있음

 

    * 최대 재생에너지 발전 가능량, 바이오 납사 원료 수급 곤란, 수소혼소기술 상용화 지연 등

 

   ** 발전 비중(기존 → 조정) : 원전 23.9% → 32.4%, 신재생 30.2% → 21.6% 이상

 

 ㅇ 또한, 그간 고려되지 못했던 기술 개발 소요 기간, 인프라 본격 가동 시기 등을 반영하여 목표연도에 갈수록 감축이 가속화되도록 연도별 감축목표를 설계하였음

 

□ 미국의 권위 있는 전문 학술지인 “엠아이티 기술평가 보고* (MIT Technology Review)”에서는 총 76개국 중 우리나라를 8위로 평가**함

 

    * 엠아이티(MIT) 대학이 발간하는 125년 전통의 권위 있는 학술 정기 간행물

 

   ** ①탄소 배출량, ②에너지 전환, ③녹색사회, ④청정 이노베이션, ⑤기후정책 등 5개 항목, 23개 세부 지표별 평가점수를 기반으로 순위 부여

 

 ㅇ 특히 우리나라의 탄소중립 노력, 사회적 기반, 혁신 기술 역량 등을 높이 평가하고 2023년 3월에 발간한 녹색미래지수(Green Future Index)를 통해 아시아 국가로는 유일하게 ‘녹색 선도국(Green Leader)’으로 인정함

 

 

담당 부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책임자

과  장

장이재

(044-200-1943)

 

사무처 친환경기후조정국

담당자

사무관

강  찬

(044-200-1944)

공 동

환경부

책임자

과  장

김진식

(044-201-6640)

 

기후전략과

담당자

사무관

송인준

(044-201-6647)

 

 

붙임1

 

연도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단위 : 백만 톤, %)

부문

2018

(기준연도)

2019

2020

2021

2022(잠정)

2023†

배출량

감축률

배출량

감축률

배출량

감축률

배출량

감축률

배출량

감축률

725.0

699.2

△3.6

654.4

△9.7

676.6

△6.7

654.5

△9.7

 

 

전환

268.4

248.7

△7.3

218.1

△18.7

223.7

△16.7

213.9

△20.3

203.7

△24.1

산업

260.8

256.4

△1.7

246.8

△5.4

262.2

+0.6

245.8

△5.7

244.7

△6.2

건물

52.1

48.6

△6.8

46.5

△10.8

46.9

△10.1

48.3

△7.4

45.2

△13.3

수송

96.2

99.0

+3.0

94.2

△2.0

96.9

+0.8

97.8

+1.8

 95.0

△1.2

농축산

24.7

24.9

+1.1

25.6

+3.8

25.4

+2.8

25.5

+3.3

 

 

폐기물

17.4

16.5

△5.2

16.7

△4.2

16.1

△7.5

16.0

△8.0

 

 

탈루 등

5.5

5.0

△9.1

6.6

+20.0

 5.5

△0.8

7.1

+28.6

 

 

†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간접지표를 통해 주요 4대 부문만 추정

 

 

붙임2

 

연도별 총 발전량

 

 

(단위 : 백만톤CO2e, TWh, %)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온실가스 배출량

268.4

248.7

△7.3

218.1

△12.3

223.7

+2.6

213.9

△4.4

203.7

△4.8

총 발전량

570.6

563.0

△1.3

552.2

△1.9

576.8

+4.5

594.4

+3.1

588.2

△1.0

무탄소

169.1

182.3

+7.8

196.7

+7.9

201.1

+2.2

229.3

+14.0

237.2

+3.4

 

원자력

133.5

145.9

+9.3

160.2

+9.8

158.0

△1.4

176.1

+11.5

180.5

+2.5

 

신재생

35.6

36.4

+2.2

36.5

+0.3

43.1

+18.1

53.2

+23.4

56.7

+6.6

화석발전

(석탄‧LNG)

391.9

371.8

△4.9

342.2

△8.0

366.4

+7.1

356.8

△2.6

342.7

△4.0

 

 

붙임3

 

온실가스 감축경로

 

 

 

총 배출량

 

흡수량

 

 

우리나라 감축경로

 

 

 

 

영국의 감축경로

일본의 감축경로

† 출처 : UN기후변화협약(UNFCCC) 홈페이지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환경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환경부] 녹색산업 중국 수출… 정부가 앞장서 활로 개척
다음글 [농림부] 농식품 미래 신(新)산업을 이끌어 갈 융복합 인재양성 본격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