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선택
Trends
Korean News
Title |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사회’ 정착위한 정책 펼친다 |
---|---|
향후 5년간 약 2조 9000억 투자 계획
제2차 국가폐기물관리 종합계획 수정계획 수립 앞으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간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사회’ 정착을 위해 약 2조9000억 원이 투자된다. 환경부는 2011년까지의 폐기물관리목표와 정책방향을 제시한 ‘제2차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 수정계획(2007~2011)’을 수립․확정 10일 발표했다. 폐기물의 적정관리를 위해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매 10년마다 수립되는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은 자원재활용기본계획, 건설폐기물 재활용 기본계획, 지방자치단체의 폐기물처리기본계획의 상위계획이다. 이번에 수정되는 계획은 폐기물관리법 제8조의 2의 규정에 따라 지난 5년간의 변화된 정책여건과 전망을 반영․수립됐으며, 향후 5년간 우리나라 폐기물관리 정책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먼저 2차 종합계획이 수립된 이후 5년간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폐기물 자원화 정책의 지속적인 추진으로 폐기물의 매립이 크게 감소하고, 재활용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쓰레기 종량제의 실시, 1회용품 사용규제 등 발생억제정책의 추진에 따라 폐기물발생량의 증가세도 크게 낮아졌다. 아울러 생산자확대책임재활용제도 시행(2003.1) 및 단계적 확대, 전기ㆍ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제정(2007.3), 공공기관 발주공사의 순환골재 10% 사용 의무화(2005) 등 다양한 자원순환 정책 및 제도의 시행으로 제2차 종합계획의 목표인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경제사회’의 기반을 확립했다. 금번의 수정계획은 이러한 5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그간의 변화된 정책 여건 및 전망을 반영해 ‘지속가능한 자원순환경제사회 정착’을 정책목표로 설정하고 폐기물 위해성 관리, 폐기물 자원화, 폐기물 감량화 등을 6대 추진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계획상의 폐기물 관리목표 및 전망은 우선 생활폐기물 재활용률은 당초 2011년 53%에서 60%로 상향조정하고, 소각률은 30%에서 23%로 하향조정, 매립은 17%로 현행을 유지하기로 했다. 사업장폐기물 재활용률은 당초 2011년 80%에서 84.6%로 상향조정하고, 소각률은 7.8%에서 5.2%로, 해양배출은 3.0%에서 0.2%로 하향조정했다. 각 부문별 주요 추진계획은 다음과 같다. ■ 영향관리: 폐기물의 위해성 관리 안티몬, 니켈, HCB 등 유해우려물질에 대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11종에 불과한 지정폐기물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종류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또한 RFID 시스템, 폐기물적법처리시스템 등을 활용해 유해폐기물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아울러 EU 등 국제 환경무역규제에 대한 국내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전기․전자제품 등 제품 중 유해물질 사용제한 기준을 마련했다. ■ 가치관리: 폐기물자원화 단순 매립․소각되는 폐기물은 최소화하고 폐기물 재활용과 자원․에너지회수를 극대화하기 위해 2011년까지 1200톤/일의 전처리(MBT) 및 RDF 제조시설 설치 확대했다. 폐기물의 에너지화 정책추진을 뒷받침하기 위해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개발 사업단(가칭)을 통한 기술개발사업 착수, 폐기물 에너지화 정책포럼을 구성․운영한다. 또한 용도별 순환골재 의무사용 목표율을 설정하고, 건설현장의 순환골재 실질 재활용율을 2006년 15%에서 2011년 30%로 확대했다. ■ 물질량관리: 폐기물감량화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의 발생억제를 위해 부과되는 폐기물부담금을 실처리 비용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인상했다. 실처리비용 대비 2008~2009년 20%, 2010~2011년 60%, 2012년 이후 100% 수준으로 인상된다.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촉진을 위한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체결을 점진적으로 확대(협약체결 시 폐기물부담금 면제)한다. 특히 포장폐기물 발생 억제를 위해 포장환경기준 설정을 추진하고, 1회용품의 사용규제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1회용 봉투․쇼핑백 판매대상 사업장의 범위(매장면적 33㎡ 이하 소규모업소) 확대를 검토․추진하는 등 1회용품 사용규제 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했다. ■ 환경요인 관리: 처리시설 설치 및 관리체계 선진화 폐기물 자원화 정책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재활용을 확대하고 매립 및 소각처리는 최소화하고, 소각시설의 가동률을 제고하고 소각시설을 통한 에너지 회수․이용을 확대했다. 또한 폐기물 통계의 정확성 향상을 위해 통계분류체계를 OECD 기준 등에 따라 정비하고, 통계기관 일원화 등 폐기물 통계관리 선진화를 추진한다. ■ 경제요인 관리: 폐기물관리 국제화 및 폐기물산업 육성 폐기물의 무분별한 수출ㆍ입에 따른 국내외 환경위해 방지를 위해 수출ㆍ입 신고제 도입 등 폐기물 수출ㆍ입 관리를 강화했다. 그리고 재활용시설 설치 및 경영안정을 위한 자금 지원확대, 제조업의 폐자원 이용의무 확대 등 폐기물산업을 육성하고 지원한다. ■ 사회요인 관리: 고객지향형 폐기물관리체계 구축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에 따른 님비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주민홍보, 교육을 강화하고 사전협의 절차를 강화했다. 아울러 폐기물 처리시설을 문화ㆍ휴식 공간 등 주민친화시설로 활용하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시설로 건설한다. 환경부는 이와 같이 계획상의 폐기물 처리 목표와 전망에 따라 2011년까지 약 1200톤/일 규모의 전처리(MBT)시설, 약 2800톤/일의 소각시설, 약 2000만㎥ 규모의 신규 매립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러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및 자원순환체계 구축 등을 위해서는 2011년까지 국고 약 1조6000억 원, 지방비 약 1조1200억 원 등 총 약 2조8800억 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환경부는 동 수정계획의 수립을 통해 ▲유해물질 함유된 폐기물에 대한 관리강화 ▲제품의 자원순환성 향상 및 유해성 감소 ▲가연성 폐기물의 에너지화 촉진 ▲수출․입 폐기물에 대한 관리 강화 등 다양한 자원순환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로써 폐기물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폐기물=자원’이라는 인식을 확산시켜 ‘폐기물 없는 사회(Zero Waste Society)’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출처: 2007-07-10 환경안전공사 |
|
File |
|
View Original URL | View Original> |
Category | Policy trends |
Sources |
Prev |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사회’ 정착위한 정책 펼친다 |
---|---|
Next | 울산시, 자전거이용 활성화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