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기술인벤토리
-
1태양광
- 초고효율 태양전지 단일접합 실리콘 태양전지의 이론 한계효율(30%) 극복을 위해 서로 다른 밴드갭 에너지를 가진 2개 이상의 태양전지 소재를 적층하여 태양광 이용률을 극대화화는 한계돌파형의 다중 접합 태양전지
- 사용처 다변형 태양광 시스템 태양전지,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시스템의 구조적·형태적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공간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폐태양광 재활용 · 재사용 태양광 폐모듈을 파쇄할 수 있는 장비 및 폐모듈에서 회수된실리콘을 재사용 및 재활용하는 기술
-
2풍력
- 초대형 풍력 터빈 해상풍력 발전의 경제성 제고(LCOE* 저감)를 위한 15~20MW급 초대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 드라이브트레인 등의 핵심 부품 및 시스템
※ 균등화 발전비용(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LCOE): 발전기가 생산한 전력의 단위당 단가
- 해상풍력 부유체 시스템 입지제약이 적은 원해에 설치하여 이용률 향상이 가능한 부유식 풍력발전을 위한 부유체 시스템(부유체, 계류선, 앵커) 설계 및 제작 기술
- 해상풍력 발전 운영 · 관리 해상풍력단지 대형화와 해양환경적 특수성(파도, 해류에 의한 접근성 제약)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저감 및 안전관리 대응을 위한 운영 기술
- 수직축 부유식 풍력발전 회전축이 수면에 수직인 방식의 블레이드가 부유식 타워에 직결되어 회전하며 고정체인 부유식 나셀과 결합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로, 풍력터빈 초대형화에 따른 기존 수평축 방식 풍력의 기술적 한계 돌파에 활용 가능한 기술
※ 기술적 한계로 2~3MW 이하 용량으로 개발이 제한되었던 기존 수직축 방식 대비하여 초대형화 기술적 한계돌파 가능함
- 해상풍력 설치 · 시공 설치해역의 수심, 파도, 조류, 해저토양에 따라 최적의 고정식 초대형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을 설계, 제작, 설치하는 기술
- 초대형 풍력 터빈 해상풍력 발전의 경제성 제고(LCOE* 저감)를 위한 15~20MW급 초대형 풍력발전시스템의 블레이드, 드라이브트레인 등의 핵심 부품 및 시스템
-
3수소공급
- 알칼라인 수전해 전기에너지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며, 알칼라인 수용액을 사용하고 분리막을 통해 수산(OH-)이온이 이동하는 수전해 기술
- PEM 수전해 전기에너지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며, 증류수를 사용하고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을 통해 수소(H+)이온이 이동하는 수전해 기술
- 차세대 수전해 전기에너지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기술
- (SOEC, 고온 수전해) 수증기를 사용하고, 세라믹전해질을 통해 산소이온(O2-)이 이동하는 고온 작동 수전해 기술
- (AEMEC,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약한 알칼라인 수용액을 사용하고 음이온 전도성 고분자전해질막을 통해 수산(OH-)이온이 이동하는 수전해 기술 - 기체수소 저장 · 운송 수소를 고압형태로 저장하거나 운송하는 기술로 고압기체 저장/운송, 고체소재저장, 고정용 수소저장기술 등을 포함
- 액체수소 저장 · 운송 수소 액화 기술 및 수소를 액상형태로 저장하거나 운송하는 데 필요한 액화수소 저장탱크, 탱크로리, 액중 펌프, 로딩암, 배관 등 부품 및 BOP 기술
- 수소 전용 배관망 수소를 배관을 통해 대용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술로 소재기술, 용접, 접합 및 안전기술, 부식방지기술로 구성
- 해외 암모니아-수소 대용량 저장 · 운송 대용량의 해외청정수소를 암모니아 형태로 국내 도입 후 수소를 추출하는 암모니아 기반 고효율 수소 추출 플랜트 기술
- 차세대 해외수소 저장 · 운송 대용량의 해외 그린수소를 암모니아로 국내 도입하기 위한 수전해 연계 고효율 차세대 그린 암모니아 생산 플랜트 국산화 기술
- 액체수소 운송선 액체수소를 대용량으로 운송하는 선박으로 액체수소를 저장하는 화물창(CCS), 수소 운용시스템, BOG 처리시스템, CHS와 각종 극저온기자재 기술, 이를 시험할 수 있는 극저온 시험설비와 고진공 기술을 포함하는 테스트베드 운용기술, 그리고 상용급으로 scale-up하여 LNG운송선 대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액체수소 운송선의 건조 기술
- 액체수소 인수기지 경제적인 해외 수소 운송을 위해 대용량 액체수소를 육상으로 인수, 저장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
4무탄소 전력공급
- 수소 혼소 가스터빈 기존 LNG용 가스터빈에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수소를 적용하여 온실가스인 CO₂ 배출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저탄소 발전 기술
- 수소 전소 가스터빈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연료를 통해 가스터빈을 사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는 무탄소 발전 기술
- 석탄보일러 암모니아 혼소 기술 기존 운영 중인 기력발전소(미분탄·순환유동층)에 암모니아를 혼소하여 효율을 최적화하고, 미세먼지 및 탄소배출 저감 하는 기술
- 초고효율 연료전지 복합발전 발전단가와 온실가스 배출을 절감하기 위한 초고효율 연료전지 제작 기술 및 연료전지-기존발전 복합화로 발전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기술
- 고효율 연료전지 열병합 분산발전으로 연료전지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절감하기 위하여, 높은 전기효율과 함께 수요처에 적합한 열에너지(스팀, 열, 수소 등)를 동시에 생산하는 기술
-
5전력 저장
- 단주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비교적 짧은 시간(4시간 이하)의 충, 방전하는 방식의 에너지저장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간헐적, 불규칙한 출력에 의한 전력망 안전성 저하를 방지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
- 장주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장기적인 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부하 변동성을 해결하고 주간, 월간 및 계절 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전력 버퍼 역할로써의 10시간 이상 전력 공급이 가능한 대용량 (>100MWh) 에너지 저장기술
※ 고효율 리튬 이차전지와 출력과 용량을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저비용의 고안전성 레독스 플로우 전지 에너지저장 기술 포함
- 사용 후 배터리 ESS 시스템전기차로부터 수명이 종료된 배터리를 재이용하여 ESS로 활용하는 기술로 전기차용 배터리팩 자체로 활용하는
방식(재사용)과 배터리팩을 분리하여 내부의 셀 혹은 모듈 단위로 선별하여 재사용하는 방식(재제조)이 있음
※ 잔존수명 80% 이상은 재사용, 65~80%까지는 재제조, 65% 이하는 재활용
-
6전력망
- 지능형 송배전 시스템 증가하는 재생에너지 중심의 분산 자원을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전력망으로 전압제어, 주파수제어, 자력기동 등이 가능하며, 이웃 배전계통 또는 기간계통과의 전력거래 및 계통 운영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송배전 시스템
- 실시간 전력거래 플랫폼 분산·중앙급전 발전원이 전체 및 지역별 전력 수급 상황과 실시간으로 연계 운전되도록 하기 위한 실시간 전력거래 기술 및 기반 플랫폼 기술
- 분산전원 및 유연자원 통합 운영 재생에너지원과 전력 수요의 변동성을 전력계통 내 가용 자원 제어를 통해 보상하는 운영기술로서,
재생에너지 출력변동과 수요의 계절·시간적 변화에 따라 실시간 상황을 예측*하고, 수요-공급 매칭과 전력계통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유연자원** 통합 운영 기술
* 재생에너지 예측오차율: (현재) 6%이하 4원/kWh, 6~8% 3원/kWh 예측정산금 지급 → (‘30년) 6% → (‘50년) 2%
** ESS, 플러스 DR, Fast DR, P2G(Power-to-Gas), P2H(Power-to-Heat), P2M(Power-to-Mobility), NWA(Non Wire Alternatives) 등
-
7에너지통합시스템
- 산업용 고온 초저온 히트펌프 산업부문에서 필요로 하는 광대역의 고온 및 냉열을 공급할 수 있는 핵심 열원기기
※ (고온 공급) 산업부문에서 공기열, 수열, 배열(폐열)을 이용하여 더 높은 온도로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열부문의 전기화를 위한 핵심 열원기기 기술
(냉열 공급) 건물 및 산업부문에서 냉열 공급. 초저온 콜드 체인/초저온 바이오 의약품 생산 및 저장 유통/극저온 반도체 공정 등에서 필요로 하는 영하 100℃ 냉열 생산 기술 - 복합에너지 시스템 에너지원(전력, 열, 연료) 간 유기적 연계운영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복합 에너지 네트워크 자원 및 수요 관리 기술
- 열에너지 저장 시스템 기술 건물, 지역냉난방, 콜드체인, 산업, 발전 등의 부문에서 열공급과 열수요의 시간 및 공간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주기별, 사용온도별 열에너지 저장(TES Thermal Energy Storage) 기술과 저장된 열에너지로 발전사이클을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카르노 배터리(Carnot Battery, 전력열저장) 기술
- 산업용 고온 초저온 히트펌프 산업부문에서 필요로 하는 광대역의 고온 및 냉열을 공급할 수 있는 핵심 열원기기
-
8원자력
- 소형모듈형원자로(SMR) 펌프, 증기발생기 등 주요 기기를 원자로 용기에 담은 일체형 설계를 통해 기존 상용원전 대비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전력수요지 인근에 설치 가능하며 탄소중립 전력망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경수로 기반 소형모듈원자로 개발 기술
- 선진 원자력 시스템 액체금속, 가스, 용융염 등을 냉각재로 사용하고 다양한 노심 설계 및 고온 운전 특성을 통해 다목적 활용성이 강화된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 기술 기반 非경수형 선진 소형원자로(SMR) 응용 기술
- 원자력 폐기물 관리 사용 후 핵연료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로 안전하게 취급·포장·운반하여 저장한 후, 영구 처분하는데 필요한 기술
-
9철강
- 고로 연 · 원료 대체 현재 고로 설비 사용 조건 하에 연·원료 대체를 통해 CO2를 저감 하는 기술
※철강 생산 공정은 고로-전로 공정, 전기로 공정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고로-전로 공정이 전기로 공정에 비해 약 3배가량 CO2를 많이 배출
- 전로 원료 대체 현재 전로 설비 사용 조건 하에 원료 대체를 통해 CO2를 저감하는 기술
※철강 생산 공정은 고로-전로 공정, 전기로 공정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고로-전로 공정이 전기로 공정에 비해 약 3배가량 CO2를 많이 배출
- 탄소저감형 전기로 현재 전기로 공정 설비 사용 또는 에너지 저감형 신규 전기로 사용 조건 하에 에너지, 연료 및 카본 사용 저감을 통해
CO2 배출을 줄이는 기술
※ 전기로 공정은 스크랩을 아크로 용해하여 쇳물을 만들고 철강을 생산하는 공정이며, 전체 철강산업 탄소배출량의 약 14.3%(약 1,693만톤)를 배출
-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철광석에서 철을 제조하기 위해 석탄(카본)을 환원제와 열원으로 사용하는 현재의 제철공정에서 수소를 사용해 생산하는 공정으로 전환하는 기술
- 철강산업 하공정 무탄소 연료 전소 철강분야 하공정(단조·압연 등)에서 배출되는 CO2를 최대 100%(연간 약
280만 톤) 감축하기 위한 기술
※ 철강 공정은 용강을 생산하기 위한 상공정과(제선, 제강),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하공정(연주, 열연, 후판, 냉연, 열처리 등)으로 구분
- 철강 부산물 재자원화 슬래그, 분진, 밀스케일 등을 포함한 1차 철강 부산물을 고부가 업사이클링 기술에 의해 저탄소화 연료로 전환하거나 타 산업의 원료로 활용하여 자원순환에 기여 하는 기술
- 고로 연 · 원료 대체 현재 고로 설비 사용 조건 하에 연·원료 대체를 통해 CO2를 저감 하는 기술
-
10석유화학
- 전기가열로 NCC 시스템 탄화수소 열분해 공정의 열원을 화석연료 연소에서 전기 기반의 가열 방식으로 전환하여 이산화탄소 배출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기술
※ NCC 공정에서 배출되는 CO2는 석유화학산업 전체 배출 CO2의 약 67%
- 무탄소 연료 NCC 공정 석유화학산업 나프타분해설비(Naphtha Cracking Center NCC)의 열분해공정에 투입되는 열에너지를 수소, 암모니아 등 무탄소 연료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핵심요소 및 공정 기술
- 부생가스(메탄) 고부가 전환 석유화학 공정에서 연료로 사용 중인 메탄을 원료로 활용하여 기초유분과 고부가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기술
- 바이오나프타·올레핀 생산 기존 석유계 나프타를 대체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1세대 바이오나프타*의 식물성 오일 또는 2세대
바이오나프타**의 비식용 바이오매스로부터 화학전환을 통해 만들어지는 C3~C9 범위의 light한 탄화수소 생산 기술 및 그 기초유분을 활용한 바이오폴리올레핀 중합을
위한 단량체 생산 공정기술
* 식용식물 기반 오일 활용 바이오디젤 제조과정에서 생산된 바이오나프타
** 폐자원 유래의 식용유, 동물성 지방, 팜오일 부산물, 목질 등 비식용 바이오매스자원으로부터 생산·제조되는 바이오나프타 - 바이오 PEF 농작물, 바이오에너지 작물, 셀룰로오스 등 비식용 바이오매스로부터 MEG, FDCA 두 단량체를 경제적으로 생산하는 화학공정 기술 및 단량체를 활용한 PEF 고분자 수지 생산기초 중합기술
- 바이오폴리올 정밀·특수화학 및 PU 등의 주성분인 석유계 폴리올을 70% 이상 바이오함량을 가지는 바이오폴리올 또는 그 유도체로 대체하기 위한 비식용 지질, 목질 등의 바이오 오일·다당 전환기술과 에테르계/에스테르계/폐놀계 바이오폴리올 생산 실증기술
- 폐플라스틱 자동 선별 폐플라스틱 혼합물을 각 플라스틱 원료로 분리/정제하여 물리적/화학적 재활용 원료로 공급
- 폐플라스틱 용매 추출 기계적 선별로 분해가 어려운 포장재 등 폐플라스틱 복합재를 각 플라스틱 원료로 분리/정제하여 물리적/화학적 재활용 원료로 공급하는 기술
- 폐플라스틱 해중합 열, 용매, 촉매 등의 기술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PU), 폴리스티렌(PS),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해중합을 통해 단량체 또는 액화 올리고머를 생산하는 기술
- 폐플라스틱 열분해 폐플라스틱의 열분해를 통해 나프타, 중질유, 경질유분 등을 생산하여 석유화학 원료를 대체하는 기술
- 폐플라스틱 가스화 폐플라스틱의 부분산화를 통해 합성가스를 생산하고, 합성가스로부터 메탄올, 디메틸에테르, 포름산, 파라핀 등 다양한 기초 화학원료를 생산
- 연료유·부산물 기초화학 원료 전환 탄소배출 및 미세먼지를 유발하여 미활용되는 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석유화학/정유 공정의 저급 부산물(디젤 비점 범위의 다환방향족 화합물) 및 저활용 유분(디젤 및 LPG)을 기초화학원료로 전환하는 기술
- 저에너지 반응 공정 석유화학산업 전체 에너지 소비의 약 65%를 차지하는 나프타 열분해 반응 등 흡열 반응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촉매 도입으로 반응열을 낮추고 흡열+발열 하이브리드 반응 공정을 통해 나프타의 흡열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촉매 및 반응공정 기술
- 저에너지 분리 소재 공정 나프타 분해공정을 통해 석유원료 제품을 분리/정제하는 과정에서 고선택성 분리 소재 및 공정의 부분적 또는 전면적 도입을 통해 소비 에너지를 절감하는 새로운 분리소재·공정 기술
- 스마트 플랜트 전환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석유화학, 정유 공정 탄소중립 기술 적용에 따른 공정 재최적화 및 에너지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IoT와 다중물리해석 적용하여 안정적 운전 및 모니터링 가능한 디지털 트윈과 소프트센서를 개발
- 전기가열로 NCC 시스템 탄화수소 열분해 공정의 열원을 화석연료 연소에서 전기 기반의 가열 방식으로 전환하여 이산화탄소 배출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기술
-
11시멘트
- 비탄산염 원료 대체 이산화탄소를 다량 배출하는 석회석 원료를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비탄산염 원료(슬래그류, 폐콘크리트 미분말 등)로 대체하는 기술
- 혼합재 함량 증대 시멘트의 클링커 함량을 낮추기 위해 국내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제조 시 품질 저하 없이
혼합재 함량을 증대하는 기술
※ 현 KS 기준 내 혼합재 사용 허용량 10%(석회석 미분말 5% 이내, 고로슬래그, 포졸란, 플라이애쉬 중 한종류 5% 이내)의 점진적 확대를 위한 요소 기술 개발
- 신규 혼합재 제조 시멘트의 클링커 함량을 낮추면서 품질저하가 없는 신규 혼합재를 개발하고, 신규 혼합시멘트를 확대 적용하여
OPC(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대체하는 기술
※ 기존 3종의 혼합시멘트(고로시멘트, 플라이애시시멘트, 포졸란시멘트) 외에 석회석미분말시멘트, 소성점토시멘트, 다성분계 혼합시멘트 개발
- 순환자원 연료 대체 시멘트 제조공정의 직접배출(연소배출) CO2를 감축하기 위해 주 연료인 유연탄을 가연성 순환자원으로 대량 대체하는 기술
- 저탄소 신열원 활용 시멘트 소성로에서 사용하는 화석연료 기반 열원을 탄소중립 연료인 바이오매스 및 수소 기반 열원으로 대체하는 기술
-
12CCUS
- 습식 포집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처리가스에서 액상흡수제(아민계, 암모니아수, 탄산칼륨 수용액 등)를 이용하여 흡수탑에서 CO2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재생탑에서 고농도의 CO2를 회수하는 개념이며, 후단에 액화 설비를 설치하여 CO2 저장(CCS) 혹은 전환(CCU)과 연계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 건식 포집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처리가스에서 고체흡수제(알칼리 금속류, 고체 아민 흡수제 등)를 이용하여 흡수반응기에서 CO2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재생반응기에서 고농도의 CO2를 회수하는 개념으로, 후단에 액화 설비를 설치하여 CO2 저장(CCS) 혹은 전환(CCU)과 연계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 분리막 포집 CO2를 선택적으로 빠르게 투과하는 분리막(고분자 분리막, 무기 분리막 등)을 활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기술
- 차세대 포집
(매체순환) 별도의 분리설비 없이 공기반응기와 연료반응기 사이를 순환하는 매체입자(산소전달입자)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CO2를 분리할 수 있는 기술
(직접공기포집, Direct Air Capture, DAC) CO2 포집 후에 배출되는 가스나 공기처럼 저농도의 CO2 환경 속에서 직접 CO2를 포집하는 기술
(BECCS) 탄소중립 바이오연료 연소 시 배출되는 CO2를 포집하는 기술 - 저장소 탐사 · 평가 · 선정 대규모 CO2를 저장할 수 있는 심부 1-3㎞ 범위의 저장소를 탐사하고, 저장 잠재량과 안전성을 평가하여, 저장부지를 선정하는 기술
- 저장 시설ㆍ설비 설계 및 구축 포집된 CO2를 해상 지중저장 사이트까지 수송하기 위한 압축·액화·저장 시설 및 공정
모니터링을 위한 설비를 설계 구축하는 기술
※ 해안에 CO2 허브터미널을 구축하여 육상에서 포집된 CO2를 액화, 저장하고 해상 CO2 주입시설까지 수송하는 전체 시스템을 제작, 운영하는 기술
- 저장소 CO2 주입 및 운영 포집 및 수송된 CO2를 심부 지층에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주입하고, 저장소를 운영하는 기술
- CO2 저장 모니터링 심부 지층에 주입한 CO2가 안정적으로 저장되고 예측한 거동에 따르는지를 확인하고, 혹시 발생할 수 있는 누출을 탐지하며 대응하는 기술
- 화학적 전환 이산화탄소를 반응원료로 사용하여 화학적 반응을 통해 연료(메탄, 합성유) 및 기초화학 제품(메탄올, 올레핀, 합성 납사, 카보네이트 등) 등 다양한 탄소화합물로 전환하는 기술
- 광물탄산화 기술 산업부산물(폐콘크리트, 철강슬래그, 석고 등)을 탄산화(+CO2)하여 무기탄산염(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을 생산, 산업에 활용하는 기술
- 생물학적 전환 조류의 광합성 반응을 통해 CO2를 생물 내에 고정하여 바이오매스를 생산하고, 이를 바이오연료·소재 등으로 제품화하는 기술
-
13산업일반
- 산업공정용 수소 · 암모니아 활용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의 산업공통설비인 보일러·공업로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저감하기 위하여 기존 화석연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소 및 암모니아의 무탄소 연료로 대체하는 기술
-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주요 공정인 식각, 증착 등에서 사용되는 GWP(Global Warming Potential)가 높은 온실가스를 저GWP 가스로 대체하고, 대체가스를 이용해 공정 효율을 극대화한 기술
- 공정 가스 대체(반도체 · 디스플레이)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주요 공정인 식각, 증착 등에서 사용되는 GWP(Global
Warming Potential)가 높은 온실가스를 저GWP 가스로 대체하고, 대체가스를 이용해 공정 효율을 극대화한 기술
* CF4, NF3, SF6 등 F-gas 및 N2O 등
- 공정 가스 처리(반도체 · 디스플레이)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주요 공정(식각, 증착 등)에서 사용하고 배출되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고
GWP의 공정가스*들을 분해, 흡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하여 무해한 가스로 처리하는 장치 및 연계된 시스템 기술
* CF4, NF3, SF6등 F-gas 및 N2O 등
- 친환경 냉매현재 사용 중인 HFC 계열 냉매보다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낮은 친환경 냉매 및 자연냉매를 기반으로 한 냉동, 냉장 설비를 개발하는 기술
- 전동기 · 전력변환기 효율화산업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동기의 제조 및 운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하여 전동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효율과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제조공정개선 및 성능고도화 기술개발
- 그린 데이터센터데이터센터를 구성하는 IT장비 및 인프라 설비를 극저전력화하고, 빅데이터, AI, 디지털트윈 등 디지털 기술을 통해 에너지 활용을 초고효율화하는 기술
- 탄소 배출 저감 효과 모니터링2050 탄소중립 검증을 위해 적용될 IPCC GL에 따른 온실가스 고배출 산업분야의 대체가스 GWP 기반
Tier 4 수준 탄소배출량 직접측정 및 실증 기반 국제표준화 기술
※ Tier 1: IPCC 기본 배출계수로 산정
Tier 2: 국가 고유 배출계수로 산정
Tier 3: 사업장 고유계수로 산정
Tier 4: 굴뚝 자동측정기기 등을 활용하여 산정
-
14친환경 자동차
- 이차전지 셀 성능 고도화 기술 전기차에 사용되는 이차전지 셀의 성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사용후 이차전지의 재사용·재활용성을 개선하는 기술
- 이차전지 시스템 고도화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스템의 소형·경량화, 상태 관리 및 운용 고도화 관련 기술
- 전기구동시스템 성능 향상 차량 고효율 구동을 위하여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모터, 인버터, 감속기 등으로 구성되는 전기구동시스템의 성능 고도화 기술
- 전력변환장치 고도화 차량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기에너지를 각각의 부품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컨버터, 인버터 등)를 고효율화, 고출력화, 고전력밀도화 기술
- 유선 충전 고속화 접촉식 충전커플러로 대용량의 충전전력을 전기차에 공급하여 배터리 충전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 충전 편의성과 충전인프라 운용성을 향상시키는 전기차 초급속 충전 기술
- 무선충전 대용량화 무선 전력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전기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충전시스템에서 전기차로 공급되는 무선충전 용량을 수십kW 이상으로 증대하기 위한 기술
- 연료전지 시스템 고도화 수소차용 연료전지시스템*이 동일한 양의 수소로 더 많은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효율성을 개선하고 상용차로
활용하는 데 필요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 수소와 공기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스택과 운전장치(수소공급 장치, 공기공급 장치, 열 및 물 관리 장치 등)를 포함
- 수소차용 수소저장시스템 수소차의 수소저장시스템의 단위 중량 당 수소 저장량을 증대시켜 주행거리를 향상시키는 기술
- 수소 충전소 기술 수소충전설비 국산화를 통해 가격을 저감하고 충전속도를 개선하여 수소상용차 충전 시간을 단축하는 기술
-
15탄소중립 선박
- 탄소중립 내연기관 기존 화석연료를 대신하여 온실가스 순배출이 없는 무탄소연료(암모니아, 수소 등) 또는 탄소중립연료(이퓨얼, 바이오)를 사용하는 선박용 내연기관
- 선박용 연료전지 · 배터리 시스템 전기추진선박의 발전원으로서 친환경 무탄소 연료(수소, 암모니아 등)를 사용하는 연료전지와 충·방전을 통해 선박 전력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하는 역할의 배터리를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기술
- 선박 전기추진 시스템 및 에너지효율 향상 발전기, 연료전지 및 배터리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추진전동기를 구동하는 선박 추진시스템과 선박 탄소중립 연료의 운송·저장 중 발생하는 증발가스(BOG) 및 연소 시 발생하는 연료슬립·배기가스를 처리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
-
16제로에너지건물
- 고성능 다기능 외피 건물 외피를 구성하는 자재 부품의 전주기 과정(생산, 시공, 운영 및 관리, 폐기)에서 저탄소화를 촉진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고성능 적정비용 외피 기술
※ 조명 차양, 단열 등 건물 외피에서 손실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기존 건축물의 외피를 리트로핏하여 최적화하는 기술을 포함
- 건물 설비 전기화 · 고효율화 건물/가정의 화석연료 기반 냉방/난방/급탕 설비를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환기, 열에너지저장 및 에너지 관리 기술을 고효율화하는 필수 요소 및 연계 기술
- 건물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융합시스템 건물과 시스템적으로 연계되는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건물에서 소비되는 전기와 냉난방, 급탕 및 환기에 소비되는 열의 에너지자립 및 효율향상을 달성하기 위한 재생에너지융합기술 및 커뮤니티단위 건물간 잉여에너지공유 및 분산/수요자원 최적운영 기술
- 건물에너지 관리 · 제어 · 데이터 활용 디지털 트윈과 첨단센싱기술을 바탕으로 건물 및 도시의 에너지 생산 운영 소비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개별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효율적인 관리 제어하고, 제로에너지 건축기술의 성능평가 및 탄소중립 이행을 객관적으로 지원하는 도시 및 건물에너지 데이터 통합&융합&운영 기술
- 고성능 다기능 외피 건물 외피를 구성하는 자재 부품의 전주기 과정(생산, 시공, 운영 및 관리, 폐기)에서 저탄소화를 촉진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고성능 적정비용 외피 기술
-
17환경
- 바이오 생분해성 플라스틱 미생물에 의해 특정 시간 내에 생분해가 되어 폐기물 처리 시 에너지 소비가 적거나 쉽게 연료/화학소재로 전환 가능한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 리뉴어블 플라스틱 생분해도가 낮은 석유계플라스틱과 비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을 탄소중립 자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플라스틱 순환 기술로, 자원화가 용이한 분해성 강화 플라스틱 소재 개발 및 에너지 소비가 적고 친환경적인 난분해성 플라스틱 순환 공정 기술
- 금속자원 회수 첨단 전기&전자제품의 빠른 신제품 개발 속도 및 사용자의 최신제품 구매 기호로 인한 ①짧은 제품 수명주기와
②제품구조 및 구성성분의 다양성으로 인한 유용금속 회수 시 발생하는 2차 발생 부산물을 최소화하는 토탈 리사이클링 기술
※ (대상품목) 제품 및 핵심부품의 평균 수명주기 5년 내외의 전기·전자제품 및 배터리 등 에너지저장 장치/제품
- 국토공간 유형별 탄소 흡수 증진 · 관리 산림지, 농경지, 초지, 정주지, 습지, 해양, 도시 등 국토공간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보호, 복원, 관리, 창출하여 탄소흡수를 증진하고, 탄소배출을 줄이는 자연기반해법 이행을 위한 식생 및 토양 등의 흡수 능력 평가 및 증진하기 위한 필요한 요소 및 연계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