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Climate Repors

정책연구 보고서 상세보기
Title [GTonline] 싱가포르 에너지 R&D 지원정책 및 기술육성 동향
목차
Ⅰ.개요

Ⅱ.싱가포르 에너지 정책과 산업구조

Ⅲ.싱가포르 에너지 R&D 지원정책

Ⅳ.에너지 R&D 지원 프로그램 동향

Ⅴ.향후 싱가포르 R&D 지원방향



주요내용
ㅇ 싱가포르는 50년 뒤의 상세한 국가모습을 세워 계획을 수립하기로 잘 알려진 국가이다. 안정된 정권과 장기플랜을 일관되게 수행하는 정책을 바탕으로 한정된 자원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싱가포르 정부는 30~40년 후의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고안한 컨셉플랜(Concept Plan)과 10년 후를 내다보고 계획한 마스터플랜(Master Plan)으로 국가의 생존과 발전을 도모해나가고 있다. 국가의 운용에 정치, 경제, 국방, 민생 등 모든 측면을 구체적으로 관리해야 하는데 그중에서도 에너지안보와 재난대응은 장기 국가 운영계획에 포함 되어야 할 핵심 요소이다.



ㅇ 특히 파리기후협약 이후 탄소배출 저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급속도로 높아짐에 따라 탄소중립 산업과 경제로 향한 국제 공조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경쟁과 헤게머니 대립의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싱가포르도 이런 범 국가적인 트렌드에 대응하고 지속가능 산업경제구조 구축을 위해 장기 컨셉플랜과 중단기 마스터플랜을 공포하였다.

2025년 ? RIE 2025 (Research, Innovation and Enterprise 2025)

2030년 ? 그린플랜 2030 (Green Plan 2030)

2050년 - 장기저탄소발전전략 (LEDS: 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



ㅇ 이러한 국가적인 전략은 싱가포르 총리실 (President Office)에서 시작하여 각 영역을 담당하는 관장부처와 정부기관, 공기업, 민간기관의 거미줄과 같은 소통체계를 통해 구체적인 실행안이 수립되고 관리된다.



ㅇ 특히 싱가포르에는 민영화된 기관과 공기업이 많아 정부 주도 전략이 회사 운영지침에 일괄적으로 잘 반영되는 구조이다. 에너지 산업은 기초 투자와 기반 인프라의 규모가 크게 투입되고, 특히 거의 모든 에너지 자원을 수입하는 수요와 공급이 비대칭적인 싱가포르에서는 정부의 전략에 따른 산업, 학계, 연구소, 관청, 민간(산학연관민)의 체계적으로 협력이 이루어지는 분야이다.

시작의 원천은 R&D 정책에 기반한 기술, 기업, 인재 육성이라고 볼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자생가능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술의 상업화·기업화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초연구부터, 응용연구, 사업화, 규모와 영향을 성장시키는 스케일업(Scale-up)까지의 체계적인 지원과 육성이 필요하다.



ㅇ 싱가포르 에너지 환경의 복잡성, 지리적 한계 및 에너지 정책의 전략적 중요성은 정부 전체의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한다. 싱가포르 정부는 복잡하게 얽힌 에너지 산업에서 포괄적이고 효율적인 육성을 위해 에너지 정책그룹(EPG: Energy Policy Group)을 구성, 에너지 정책과 전략 수립 및 조정하는 역할을 했다.

에너지 정책 그룹(EPG)의 다양한 가닥들을 함께 끌어내어 일관된 에너지 정책을 구성하는 작업은 2000년 초에 시작되어 싱가포르의 에너지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했다.

국가 에너지 정책 프레임워크의 개발과 더불어 전력 및 운송 부문, 에너지 효율성, 기후변화, 에너지 산업, 에너지 연구개발 및 국제 에너지 파트너 참여 등 광범위한 에너지 문제를 연구했고, 청정 에너지 R&D 생태계 구축을 위해 수년간 다양한 조직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싱가포르의 녹색 경재 정책으로 현재 약 70,000여개의 고용이 창출되고 국가 GDP에 약 70억 달러를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지속적인 청정 에너지 경제 확장을 진행시킬 예정이다.



ㅇ 지정학적으로 부족한 에너지 자원을 극복하기 위해 태양광 규모를 2030년까지 6배 이상 확장하고 주변 국가로부터 청정 에너지원 조달 다변화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싱가포르는 장기 투자를 통해 에너지 R&D와 혁신(Innovation)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산업과 경제에서 탄소배출저감 효율화율 국가(carbon-efficient countries) 세계 20위내로 진입했고, 더 높은 상위권 국가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File
View Original URL
Sources GT (Global Tech) 온라인
정책연구 보고서 이전글 다음글
Prev [GTonline] 아세안·인도 산업·에너지 동향(9월4주_뉴스 클리핑)
Next [국가환경산업기술정보시스템] 중국 주간 환경뉴스 브리핑(CEB) Vol.134 10월 3주차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