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News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Title [외교부] ’23년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31.3억불 지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가 11일(한국시각 22:00) 발표한 공적개발원조(ODA) 잠정통계에 따르면 ’23년도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ODA) 실적은 전년 대비 3.2억불(11.4%) 증가한 31.3억불로 나타났다.

 

<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ODA) 연도별 실적 (억불) >

 

 

ㅇ ’23년도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실적은 전년 대비 원·달러 환율 변동이 둔화*된 가운데 양자원조(23.0억불)와 다자원조(8.3억불)의 실적이 고르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세계은행·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금융기구에 대한 출자·출연 증가가 실적 증가를 견인했다.

 

   * 원·달러 적용환율(증가율) : (‘21) 1,144.46 → (’22) 1,291.41(12.8%) → (’23잠정) 1,306.01(1.1%)

 

< 2023년도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ODA) 잠정통계 (백만불) >

 

 

 

□ 양자원조(23.0억불)는 무상원조(15.7억불) 및 유상원조(7.3억불) 모두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3.4% 증가했다.

 

ㅇ 무상원조는 교육·보건·공공행정 등 사회분야 지원(+0.8억불), 해외 긴급 구호 및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인도적 지원(+0.2억불) 증가 등으로 전년대비 2.6% 증가했다.

 

ㅇ 유상원조 또한 기후변화 대응·산업개발 등 수원국의 재정 수요 증가로 프로그램 차관 지원이 확대(0.8억불)되면서 전년대비 5.1% 증가했다.

 

□ 다자원조(8.3억불)는 전년도 출자·출연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와 더불어, 저소득·취약국의 코로나 대응 및 개발도상국의 경제회복 지원 등을 위해 국제개발협회(IDA)** 및 국제통화기금(IMF) 등 주요 국제금융기구에 대한 출자·출연이 증가(+1.9억불)하면서 전년대비 41.9% 증가했다.

 

   * 다자 지원실적 : (‘21) 7.0억불(+41.3%) → (’22) 5.9억불(△16.4%) → (’23잠정) 8.3억불(+41.9%)

   ** 세계은행(WB) 산하 국제금융기구로, 저소득 개도국에 대해 장기 무이자 자금 지원

 

ㅇ 우리 정부는 다자원조를 통해 전세계 개발재원 부족에 신속·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국제 문제 해결에 대한 기여 의지를 적극 표명했다.

 

□ 한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 31개 회원국*의 총 공적개발원조(ODA) 지원규모는 2,237억불을 기록하며 전년 2,107억불 대비 6.2%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에 이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및 인도적 지원이 지속 증가한 가운데, 세계은행(WB) 등 국제기구에 대한 출자·출연이 증가한데 기인한다.

 

   * 주요 국가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실적(억불) : ▲미국 660(+9%), ▲독일 367(+3%), ▲일본 196(+12%), ▲영국 191(+21%), ▲프랑스 154(△4%) 등

   ** 양자원조 전년대비 5% 증가, 다자원조 전년대비 11% 증가

 

ㅇ 전체 31개 회원국 중 우리나라 지원 규모 순위는 14위로 나타났으며, 경제규모 대비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규모를 나타내는 국민총소득 대비 공적개발원조(ODA/GNI) 비율은 0.18%로 전년에 비해 0.01%p 증가했다.

 

□ 정부는 긴축 재정 기조 속에서도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 국가적 위상에 걸맞는 역할 수행을 위해 ’24년도 공적개발원조(ODA) 예산을 역대 최대 폭(31.1%)*으로 확대한 바 있어, 올해 공적개발원조(ODA) 실적 규모 또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ODA 예산(증가율) : (‘22년) 3.94조원 → (’23년) 4.78조원(21.3%) → (’24년) 6.26조원(31.1%)  

 

ㅇ 정부는 향후에도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계속 확대하여 분쟁·재난 지역에 대한 인도적 지원, 기후변화 대응 등 국제개발협력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대외정책과 연계한 전략적 공적개발원조(ODA) 추진을 통해 상생의 국익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끝.

File
View Original URL View Original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Sources 외교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Prev [환경부] 세계 최고의 환경기술을 찾습니다
Next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2회 ‘지식의 숲 아카데미’ 신청 접수 시작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