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News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Title [농림부] 국민이 부담없이 국산 과일을 즐길 수 있도록,생산은 안정적으로, 유통은 효율적으로!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

 

국민이 부담없이 국산 과일을 즐길 수 있도록,
생산은 안정적으로, 유통은 효율적으로!

-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 -

- 냉해 약제 보급, 재해예방시설 조기 설치 등 「2024 사과 안심 프로젝트」 추진

- 스마트 과수원 조성, 신규 산지 육성 등으로 사과 50만톤 이상 안정적 생산

-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 산지‧소비지 직거래 확대를 통해 사과·배 유통비용 10% 절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기후변화 진행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민들이 부담없이 국산 과일을 소비할 수 있는 생산‧유통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4월 2일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을 발표하였다.

 

  농식품부는 ‘23.2월부터 「과수산업 발전포럼」, 생산자 간담회 등을 12회 개최하여 생산자, 소비자, 전문가 등과 함께 다양한 과제를 논의해 왔으며, 올해 1월부터 부내 개혁추진단을 구성하여 대책을 검토‧수립하였다.

 

  우리나라 과수 생산액은 5.8조원(’22년)으로 전체 농업 생산액에서 10%를 차지한다. 그간 고품질화를 중점 추진하면서 품질 경쟁력은 갖추었지만 주요 생산국 대비 가격 경쟁력이 낮은 수준이며, 재해 대응 등 기후변화 준비도 미흡한 상황이다. 도매시장 유통 비중이 여전히 50% 수준으로 유통 비용 상승*, 가격 변동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크기‧외관 중심의 재배 관행이 계속되고 있어 1인 가구 증가, 식습관 변화 등 소비 추세를 생산 과정에서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과수산업 정책 패러다임을 “기후변화 대응 강화”와 “소비자 니즈 충족”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 도매시장은 단시간 수집‧분산에 용이하다는 장점에도 불구, 유통단계가 복잡(산지-도매시장(법인-중도매인)-소매상-소비자)하고 단계별로 비용 발생

 

[ 2024년산 생육‧수급 관리 방안 ]

 

  지난해 봄철 냉해, 여름철 호우‧탄저병 등 동시다발적 재해‧병해충 피해로 주요 과일 생산량이 30% 내외로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작년과 같은 수급 불안이 반복될 수 있다는 국민들의 우려가 큰 상황에서, 소비 비중이 가장 큰 사과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2024 사과 안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시기별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관리, 「2024 사과 안심 프로젝트」 추진

 

  최근 사과 재배면적은 증가 추세이며, 평년 생산량은 49만톤 수준이다. 단기적으로 재배면적은 부족하지 않으며, 안정적 생산을 위해 다양한 재해‧병해충에 대비한 생육 관리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 재배면적 : (‘19) 32,954ha → (’20) 31,598 → (‘21) 34,359 → (‘22) 34,603 → (’23) 33,789
생산량 : (‘19) 535천톤 → (’20) 422 → (‘21) 516 → (‘22) 566 → (’23) 394

 

  농식품부는 지난 1월 민관 합동 「생육관리협의체」를 구성, 올해 처음으로 사과‧배 재배지를 대상으로 냉해 예방약제를 보급하고, 미세살수장치, 방상펜 등 예방시설도 올해부터 사용할 수 있도록 3월까지 조기 설치하였다.

 

  수급 불안에 대비해 수급 안정용 계약재배물량을 6만톤으로 확대(‘23년 4.9만톤)하고, 일부 물량은 출하시기 뿐만 아니라 출하처‧용도까지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강화된 방식으로 운용(지정출하 방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수급을 관리한다. 일상 소비용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작은 사과 시범 생산(1만톤)도 추진한다.

 

[ 2024~2030년 경쟁력 제고 대책 ]

 

  중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적지 변화, 재해 피해 증가 등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으므로, 앞으로도 국민이 부담없이 국산 과일을 소비할 수 있도록 ❶ 재해‧수급 대응 역량 제고, ❷ 생산기반 확보 및 생산성 제고, ❸ 유통 구조 효율화, ❹ 소비자 선택권 다양화 등 4대 핵심 전략을 추진하여, 기후변화 대응력과 경쟁력을 높인다.

 

 ❶ 재해예방시설 및 계약재배물량 확대

 

  사과‧배 기준 현재 재배면적의 1~16% 수준인 3대 재해(냉해‧태풍‧폭염) 예방시설의 보급률을 ’30년까지 30%로 확충한다. 피해 면적이 넓고 빈도가 잦은 위험지역에 우선 보급하고, 포도‧감귤에는 이미 보편화된 비가림 시설을 사과‧배에도 적용‧보급한다. 재해예방시설 30% 확충시 재해 피해는 약 31%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과·배 계약재배물량은 ‘23년 각 5만톤, 4만톤 수준에서 ’30년 생산량의 30% 수준인 15만톤, 6만톤까지 확대한다. 통상 계약재배는 명절 성수품 공급에 주로 활용되어 평시 수급 관리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사과의 경우 물량 확대를 통해 명절 수요의 50%(12만톤 중 6만톤), 평시 수요의 25%(37만톤 중 9만톤)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수급 상황에 따라 최대 5만톤을 지정출하 방식**으로 운용하여 도소매 등 특정 유통 경로의 가격 급등락에 대응한다.

   * ‘23년의 경우, 계약재배물량 5만톤은 명절 3만톤(수요의 25%), 평시 2만톤(5%) 공급

  ** 출하시기 뿐만 아니라 출하처‧용도까지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강화된 계약재배 방식

 

 ❷ 미래 재배적지를 중심으로 생산성 높은 생산기반 조성

 

  미래 재배적지를 중심으로 생산성이 2배 이상 높은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를 조성한다. 스마트 과수원은 나무 형태‧배치를 단순화하여 노동력을 절감(기존 과수원 대비 30%↓)하고 햇빛 이용률을 높여 생산효율을 극대화한 과수원이다. 20ha 규모로 단지화하여 ’25년 신규 5개소, ’30년까지 60개소(1,200ha), 전체 사과 재배면적의 4% 수준으로 조성하고, 이를 통해 사과 생산량의 8%를 공급한다.

 

  재배적지 북상에 따라 강원도 등 새로운 사과 산지를 전략적으로 육성한다. ‘30년까지 정선‧양구 등 강원 5대 사과 산지* 재배면적을 2배로 확대(‘23: 931ha→’30: 2,000)하고, 스마트 과수원 조성, 거점APC 건립, 강원 사과 브랜드화 등을 추진한다.

   * ‘23년 강원 재배면적은 1,679ha(전체 면적의 5.0%), 정선‧양구‧홍천‧영월‧평창은 강원 면적의 55% 차지

 

 ❸ 유통 단계 단축, 생산자단체 조직화를 통해 사과‧배 유통비용 10% 절감

 

  온라인 도매시장을 활성화하고 산지-소비지 직거래를 늘려 유통단계를 1~2단계 단축하고 유통비용을 10% 절감한다. 사과의 경우 ’30년까지 온라인 도매시장 유통 비중을 전체 거래의 15%까지 확대하고, 산지-소비지 직거래 비중도 22.6%에서 35%까지 높인다. 이를 위해, 산지와 소비지 다양한 유통 주체를 규모화‧조직화하여 참여를 유도한다. 산지는 거점‧스마트APC를 중심으로 취급 물량을 확대하고, 소비지는 중소형마트‧전통시장 등의 수요 물량을 규모화한다.

   * 사과 유통비용률 : (‘22) 62.6% → (’30) 56.0%
배 유통비용률 :  (‘22) 53.9% → (’30) 49.0%

 

  과수 산지 조직화의 주요 주체인 거점APC(24개소)는 선별‧저장시설 등을 확충하고 취급 물량도 2배 이상 확대(사과 기준, ‘22:유통 물량의 14% → ’30:30%)하여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와 산지-소비지 직거래의 핵심 주체로 육성한다.

 

 ❹ 신품종‧중소과 시장 확대 및 규격‧표시제 개선

 

  1인 가구 확대, 다양한 제품 선호 등 소비 추세를 반영하여 노란 사과(골든볼), 초록 배(그린시스) 등 신품종 시장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현장 기술지도를 강화하고 초기 시장 형성기 동안 홍보‧마케팅을 집중 지원한다. 일상 소비용 중소과 생산도 전체 면적의 5%까지 확대한다.

 

  신품종‧중소과 특성을 반영하여 규격‧표시제도도 개선한다. 제수용 중심의 크기 규격을 완화하고, 소비자 관심이 높은 당도 등 품질 표시를 강화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기후변화는 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고 지금 우리 앞에 직면한 현실”이라고 하면서, “전국민이 국산 과일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도록 올해 생육 관리와 중장기 생산 체계 전환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유통 구조 개선, 소비 트렌드 반영 등을 통해 국산 과일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1.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 인포그래픽
2.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요약)

 

 

담당 부서

유통소비정책관실

책임자

과  장

김정락

(044-201-2211)

 

원예경영과

담당자

사무관

지수아

(044-201-2215)

 

 

붙임1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인포그래픽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농림축산_사과안심 브리핑 판넬_240401_최종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835pixel, 세로 425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농림축산_사과안심 브리핑 판넬_240401_최종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835pixel, 세로 4252pixel

 

 

붙임2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요약)

 

 

 

 추진 배경

 

□ (산업 동향) 과수 생산액은 5.8조원으로 농업 생산액의 10% 차지

 

 ㅇ (생산) 그간 고품질화 중심 지원으로 품질 경쟁력은 갖추었으나 주요 생산국 대비 경쟁력이 낮고 기후변화 준비도 미비

 

     * 국가별 사과 노동시간(시간/10a, ’20) : 한국 151.0, 일본 227.0, 미국 22.5
생산단수(kg/10a, 한국 평년, 해외 ‘20) : 한국 1,457, 일본 2,052, 미국 3,892

 

 ㅇ (유통) 도매시장 유통 비중이 50% 수준*(사과 60%)으로 높으며 유통비용 상승, 수급 여건에 따른 가격 변동 등의 원인으로 작용

 

     * 도매시장은 단시간 수집‧분산에 용이하다는 장점에도 불구, 유통단계가 복잡(산지-도매시장(법인-중도매인)-소매상-소비자)하고 단계별로 비용 발생

 

 ㅇ (소비) 명절 제수‧선물용 소비 비중*이 높은 사과‧배는 여전히 후지‧신고 비중**이 높고, 외관‧크기 위주 재배 관행 지속

 

    * 명절 기간(1·9월) 유통 비중 : (사과) 27.0%, (배) 44.4%

   ** 주요 품종 비중(‘23, KREI) : (사과) 후지 61.4%, 홍로 13.9% / (배) 신고 85.1%

 

□ (기후 영향) 기후변화는 이상기상 피해, 병해충 발생, 재배적지 변화 등 초래, 과수 생산‧수급에 미치는 영향 점차 증대

 

 ㅇ 최근 5년 중 개화기 냉해가 발생하지 않은 해는 ’22년뿐이며, 특히 ‘23년은 냉해‧탄저병 등 동시 발생으로 과일 생산 크게 감소

 

     * ‘23년 생산량 : 사과 394천톤(전년비 30.3%↓), 배 184천톤(전년비 26.8%↓) 등

 

 ㅇ 사과 재배적지는 북상하고 있으며, 강원 재배면적이 빠르게 증가

 

     * 사과 재배면적 : (경북) ‘05년 62.3% → ’23년 59.3%, (강원) ‘05년 0.5% → ’23년 5.0%

 

□ (수입 경쟁) FTA 확대, 수입검역협상 진행에 따라 사과·배를 비롯한 모든 과일이 수입 과일과 직접 경쟁 불가피

 

 

과수산업 정책 패러다임을 ①기후변화 대응 강화와 ②소비자 니즈 충족으로 전환

 

 

 

 「2024 사과 안심 프로젝트」 추진

 

 

 ◇ 여건 : 사과 재배면적 증가 추세, 평년 생산단수 회복이 관건

 

□ (생산‧수급 여건) 생산량(면적×생산단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재배면적은 증가 추세(‘14년:31천ha → ’23:34)

 

 ㅇ 평년 생산단수는 1,457kg/10a로, 평년 작황시 50만톤 이상 생산 가능

 

     * ‘20년 냉해 피해 등으로 생산량이 42만톤까지 감소하였으나, ’21년 52만톤, ‘22년 57만톤 수준으로 회복

 

□ (’23년 분석) 개화기 냉해, 여름철 탄저병, 우박‧태풍 등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여 큰 폭의 생산 감소 초래

 

 ㅇ 개화기 냉해*, 탄저병 피해가 최근 5년 중 가장 큰 수준

 

     * ’23.3~4월 기온이 높아 개화기가 빨랐으며, 개화 이후 이상저온으로 사과 냉해 18,807ha 발생(전체 면적의 55.7%)

 

 

 ◇ 대응 : 재해에 대비하여 ▲선제적 생육관리를 통한 평년 단수 회복, 수급 불안에 대비해 ▲수급조절역량 획기적 강화

 

□ (선제적 생육관리) 1월부터 「생육관리협의체」를 구성하여, 주산지 지자체, 생산자단체 등 협력으로 시기별 위험요인 선제적 예방‧관리

 

 ㅇ 냉해 예방약제 보급 및 적기 살포(3~4월), 과수화상병 궤양 100% 제거(2월), 재해예방시설 조기 설치(3월)

 

 ㅇ 4월 중 냉해를 특별 관리하고, 이후 가뭄‧탄저병 등 시기별 위험요인 관리

 

□ (수급 관리) 계약재배물량을 확대(’23: 사과 4.9만톤 → ’24: 6)하고, 명절 성수품(3만톤) 및 평시(3만톤) 수급 관리용으로 활용

 

 ㅇ 수급 불안 우려시 계약물량 일부는 거점APC 보관, 출하시기와 함께 출하처‧용도까지 관리

 

□ (중소과 공급) 일상 소비용 공급 확대를 위해 중소과 시범 생산(1만톤) 추진

 

 

 

 중장기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

 

 

 

비전 : 기후변화 대응력과 경쟁력을 갖춘 과수산업

 

 

 

 

 

전략 1

 

 재해‧수급 대응 역량 제고

 

 

 

전략 2

 

 생산기반 확보 및 생산성 제고

 

 

 

전략 3

 

 유통 구조 효율화

 

 

 

전략 4

 

 소비자 선택권 다양화

 

 

 

기대효과

(‘30)

 ◇ 사과 재배면적 3.3만ha 이상 유지, 생산량 50만톤 이상 확보

 

 ◇ 사과·배 유통비용 10% 절감

 

 

 

 

 

전략 1

 

 재해‧수급 대응 역량 제고

 

□ 재해예방시설 대폭 확충

 

 ㅇ 3대 재해(냉해‧태풍‧폭염) 예방시설*을 피해면적‧빈도 기준 상위 20개 위험지역 대상 우선 보급

 

     * 예방시설 : (냉해) 미세살수장치, 방상펜, 비가림 등, (태풍) 방풍망 등, (폭염) 관수관비 등

 

   - 목표 : (’23) 냉해 1.1%(사과·배 면적), 태풍 12.2%, 폭염 15.7%
→ (’30) 냉해·태풍·폭염 각 30%

 

< 재해위험지역 선정 기준 >

 

 

구 분

대상 시‧군

피해면적 기준

(사과)10대 주산지 중 9개소(청송‧안동 등) 및 무주‧예천,
(배)10대 주산지 중 6개소(나주·천안 등) 및 평택

발생빈도 기준

산비탈, 저수지 인근 등에 과원이 집중된 (사과)밀양·포항, (배)진주 등

 

 ㅇ 포도, 감귤 등의 냉해피해예방, 출하시기조절 등에 효과적인 비가림 재배시설을 사과‧배 등 타 과수까지 확대하여 생산안정성 제고

 

□ 계약재배 확대 및 관리방식 개선

 

 ㅇ 명절 뿐만 아니라 평시 수급까지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사과·배 계약재배를 생산량의 30%*(사과 15만톤, 배 6)까지 확대

 

     * (현재) 사과는 명절 수요의 25%, 평시 수요의 5%, 배는 각각 35%, 15% 수준 공급
(확대) 사과‧배 모두 명절 수요의 50%, 평시 수요의 25%까지 공급 가능

 

< 사과‧배 계약재배 계획(안) >

 

 

구분

‘23

‘24

‘30

평년 생산량 대비

‘23(A)

‘30(B)

(B-A)

사과 계약재배(천톤)

49

60

150

10.0%

30.5%

20.5%p

배 계약재배(천톤)

42

45

60

21.2%

30.3%

9.1%p

 

 ㅇ 사과의 경우 출하시기뿐 아니라 보관시설‧출하처‧용도까지 관리하는 지정출하 방식 도입 검토, 수급 상황에 따라 최대 5만톤까지 운용

 

     * 관리 방식 : (기존 계약재배) 출하시기만 관리 → (지정출하) 보관시설‧출하처‧용도까지 관리

 

 

전략 2

 

 생산기반 확보 및 생산성 제고

 

□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 조성

 

 ㅇ 미래 재배적지를 중심으로 20ha 내외의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 조성, ‘25년 5개소(100ha)를 시작으로 ’30년 60개소(1,200ha)* 조성

 

     * ‘30년 기준 전체 사과 재배면적의 4%, 전체 생산량의 8%

 

   - 재해예방시설, 공동농기계를 필수 시설로 도입하여 생산성 극대화

 

 

 

< 참고 : 스마트 과수원 >

 

 

                                                       

 

▪ (개념) 구조가 단순한 나무(2축형‧다축형)로 조성한 평면 형태의 과수원, 높은 햇빛 이용률로 생산성을 높이고 자동화‧기계화를 통해 노동력 획기적 절감 가능

▪ (기대효과) 노동력 30% 절감, 생산성 2배(최대 4배)

  * 가지치기, 꽃 솎기, 제초 등 기계화 가능(기계화율 31%→5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OB00000fdcbf10.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1pixel, 세로 116pixel

 

 ㅇ 강원‧산간지 등 미래 재배적지의 신규 과수원, 과수화상병 폐원 과수원, 주산지 노후 과수원 등을 대상으로 지원

 

□ 신규 산지 전략적 육성

 

 ㅇ 강원 등 신규 산지를 전략적으로 육성, ’30년까지 정선‧양구‧홍천‧영월‧평창 등 강원 5대 산지 면적 2배 확대(‘23: 931ha → ’30: 2,000)

 

     * ‘23년 강원 면적(1,679ha)은 전체의 5.0%, 5대 산지 면적은 강원 면적의 55% 차지

 

   - 정부‧지자체 사업을 연계하여 스마트 과수원 확대, 거점APC 건립 등 생산‧유통 인프라 구축

 

□ 기후변화 대응 R&D 강화

 

 ㅇ 내재해성 신품종 개발‧보급, 비용 절감형 재해대응기술 개발 등 생산 안정을 위한 R&D 강화

 

 

전략 3

 

 유통 구조 효율화

 

□ 유통단계 단축으로 유통비용 절감

 

 ㅇ 온라인 도매시장을 통해 도매시장 거래 비중을 축소하고 직거래로 유통 경로 1~2단계 단축, 유통비용 10% 절감

 

   - 사과의 경우 온라인 도매시장 비중 확대(0%→15%), 오프라인 도매시장 비중 축소(60.5%→30%), 유통비용률 축소(62.6%→56%)

 

 ㅇ 직거래 확대를 위해 산지‧소비지의 다수 거래주체 조직화 도모, 참여주체에 납품단가 지원 등 인센티브 검토

 

< 사과 유통 구조 변화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OB00000fdcbf0c.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7pixel, 세로 162pixel

 

□ 거점APC 중심 산지 조직화

 

 ㅇ 거점APC(’24년 24개소) 신규 건립, 선별‧출하시설 확충 등으로 취급물량 확대(사과 거점APC 취급물량 : ’22년 14%→‘30년 30%)

 

   - 취급물량 확대를 위해 계약재배물량은 거점APC를 통해 유통

 

 ㅇ 인력‧컨설팅 등 지원을 통해 거점APC 판매 역량을 높이고 온라인 도매시장, 산지-소비지 직거래의 핵심 판매주체로 육성

 

□ 관측 고도화

 

 ㅇ 생육단계부터 저장‧유통단계까지 관측, 유통 투명성을 확보하고 선제적 대응 체계 구축

 

 ㅇ 관측 결과는 계약재배(지정출하) 물량, 출하시기 조절 등에 반영하고, 저장‧유통 물량도 체계적 관리

 

 

전략 4

 

 소비자 선택권 다양화

 

□ 신품종·중소과 시장 확대

 

 ㅇ 노란 사과, 초록 배 등 다양한 신품종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현장 기술기도 강화 및 홍보‧마케팅 집중 지원

 

 ㅇ 소비 추세를 반영하여 작은 사과 재배도 전체 면적의 5%로 확대

 

     *  작은 사과 생산시 생산성 현재 대비 30% 증가

 

 ㅇ 수용 중심의 크기 규격을 완화하고, 당도‧경도‧당산비 등 맛‧품질 관련 표시 강화

 

□ 융복합 산업 활성화

 

 ㅇ 체험형 과수원 육성 등으로 고부가가치 창출 및 소비 기반 확대

 

     * (사례) 레드애플팜(밀양) : 사과 농장을 이용한 팜파티, 팜핑(캠핑), 사과 주스·맥주·와인 제조 등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 및 인근 호텔, 관광농원 등과 연계한 체류형 프로그램 기획

File
View Original URL View Original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Sources 농림축산식품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Prev [농림부] 농식품부, 질소저감사료 보급 확대를 위한 기준 마련
Next [산업부]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100대 기후테크 스타트업’ 모집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