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lobal NEWS

Global NEWS 상세보기
Title 인도, 물 산업 분야 정책 및 시장 동향
[인도 물산업 분야 동향 요약]



■ 세계 인구의 6분의 1을 차지하나 지구상 담수는 4%, 수자원 2% 정도만 점유 => 용수난 심각

■ 물 부족 문제의 심각성으로 모든 기업에 대해 지하수 사용 허가제를 처음으로 도입

? 2020년 내 인도 21개 도시 ''지하수 고갈'' - 인도 정부는 각 지방자치단체에 폐수처리 및 용수공급을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을 요구하고 있음

? 모디 정부의 10대 국정과제 수행과 ''Make In India*‘ 프로그램 추진으로 생활용수 및 산업용수의 수요 증가 예상(*해외기업들의 제조공장을 유치해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자는 경제 개발 프로젝트)

? 인도의 수처리 산업 규모는 2010년 21,50억 루피(약 3조 8,000억원)에서 2015년 3,953억 루피(약 7조원)로 2배가량 성장하였음

? 인도는 매년 1인당 GDP 상승률 7.7%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생활수준 및 삶의 질 향상에 따라 수처리 관련 사업 역시 지속적으로 동반 성장할 것으로 주목되고 있음

? 인도의 생수 시장은 2017년 704억 루피(약 1조 2,000억원)를 기록했으며,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1년까지 약 1,500억 루피(2조 6,500억원)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인도 모디 총리가 한국 정부에 여러 차례 요청한 제조업, 스마트시티, 산업회랑 개발사업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한·인도 협력센터와 협력기금은 중소 규모의 경제협력 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하는 데 집중 활용될 필요가 있음

? 일본·중국의 대형 프로젝트와 차별화된 중소형 규모의 프로젝트 위주(스마트교통, 에너지, 수자원관리, 폐기물처리 등)로 사업을 발굴하는 것이 적합함
View Original URL View Original
국외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
File
Sources KONETIC
Global NEWS 이전글 다음글
Prev 대만, 친환경 산업 및 시장 동향
Next GCF support for adaptation planning helps developing countries build the case for increased action and invest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