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language
Trends
Korean News
Title |
[기상청] 기상청, 정부 합동으로 2022년 이상기후 보고서 발간 |
|||||||||||||||||||||||||||||||||||||||||||||||||||
---|---|---|---|---|---|---|---|---|---|---|---|---|---|---|---|---|---|---|---|---|---|---|---|---|---|---|---|---|---|---|---|---|---|---|---|---|---|---|---|---|---|---|---|---|---|---|---|---|---|---|---|---|
□ 기상청(청장 유희동)은 관계부처(국무조정실,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24개 기관)와 합동으로 「2022년 이상기후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국무조정실·기상청 공동 주관으로 매년(2010~) 발간, 올해는 24개 기관 49명의 담당·집필진 참여 ○ 이번 보고서는 2022년에 발생한 △이상고온 △집중호우 △태풍 △가뭄 등의 이상기후 발생과 분야별* 피해 현황을 담고 있다. * 농업, 해양수산, 산림, 환경, 건강, 국토교통, 산업·에너지, 재난안전 총 8개 분야
□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는 중부지방의 집중호우와 남부지방의 극심한 가뭄, 이른 열대야와 폭염 그리고 7년 연속 9월 태풍 등으로 인해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 (집중호우) 장마 기간과 장마 종료 후에도 정체전선이 주로 중부지방에 위치하면서 시간당 100 mm가 넘는 강한 비가 내렸다. - 8월 중부지방은 집중호우로 총 19명(사망 17, 실종 2)의 인명피해와 3,154억 원의 재산피해, 그리고 409.7 ha의 농경지 유실·매몰, 가축 33,910마리 폐사 등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 (가뭄) 비가 적었던 남부지방은 12월까지 기상가뭄이 지속되어 1974년 이후 가장 많은 227.3일의 기상가뭄 일수를 기록하였다. - 6∼7월 전남지역(신안, 영광, 진도, 무안)에는 1,442 ha에 달하는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였고, 섬진강 권역 댐 저수율은 2022년 12월 기준 예년*의 54.8%로 심각 수준을 기록하였다. * 예년(댐): 댐의 ’관측년도‘부터 ’전년도‘까지의 동일 시점 관측값(수위)의 평균값 ○ (이른 열대야와 폭염) 6월 하순 최저기온이 매우 높아 예년보다 이른 시점(6.25.∼27.)에 열대야*가 발생하였고, 7월 상순에는 경상 내륙지역 중심으로 일 최고기온 35∼38 ℃의 폭염이 발생하였다.
* 2022년 6월 서울 열대야 발생일(밤 최저기온): 26일(25.4 ℃), 27일(25.8 ℃) -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는 총 1,564명(사망 9명 포함)으로 전년 대비 13.7% 증가하였고, 이른 더위로 건물 부문(가정·공공·서비스)의 전력수요가 최대치(‘22.6.∼9., 90,932 GWh, 전년 대비 4.6% 증가)를 기록하였다. ○ (태풍)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은 5개로 평년(3.4개)보다 많았으며, 7년 연속으로 9월에 태풍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상륙으로 여러 지역이 9월 일강수량 극값*을 경신하며, 많은 양의 비로 인해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 9월 일강수량 극값: 경주시 1위 212.3 mm(’22.9.6.), 2위 140.0 mm(’16.9.17.) - 태풍‘힌남노’로 인해 11명(사망)의 인명피해와 2,439억 원의 재산피해가 초래되었으며, 경북과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35 ha의 산사태 피해가 발생하였다.
□ 유희동 기상청장은 “2022년은 중부지방의 집중호우와 남부지방의 가뭄, 초강력 태풍 등을 경험하며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체감하고, 이제는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위기 상황이 다가왔음을 깨닫게 된 한 해였습니다.”라며, “앞으로 기상청은 기후위기 감시 및 예측 업무의 총괄·지원 기관으로서, 그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라고 밝혔다.
□ 한편, 이상기후 발생 원인과 분야별 대응 현황 등 자세한 사항은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 열린마당 – 발간물(「이상기후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붙임 1. 2022년 우리나라 이상기후 발생 분포도 2. 2022년 우리나라 이상기후에 의한 분야별 주요 피해 현황 3. 2022년 이상기후 보고서 개요
□ 집필진 구성 및 활용
○ (주관) 국무조정실․기상청 공동주관
○ (참여)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촌진흥청, 산림청, 질병관리청 등 24개 기관 참여 → 범부처 연합 「이상기후 보고서」 매년 발간(2010년~2021년/12회)
○ (활용) 이상기후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및 홍보·교육 자료로 활용
□ 주요 내용(목차)
|
||||||||||||||||||||||||||||||||||||||||||||||||||||
File | ||||||||||||||||||||||||||||||||||||||||||||||||||||
View Original URL | View Original> | |||||||||||||||||||||||||||||||||||||||||||||||||||
Category | Policy trends(Korea) | |||||||||||||||||||||||||||||||||||||||||||||||||||
Sources | 기상청 |
Prev | [산업부] 기후산업국제박람회를 위해 민관 힘을 합치다 |
---|---|
Next | [산림청] 국토녹화 50년의 선물! 2020년 산림공익기능 평가액 259조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