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산림청] 국토녹화 50년의 선물! 2020년 산림공익기능 평가액 259조원!

 

국토녹화 50년의 선물! 2020년 산림공익기능 평가액 259조원!

- 2018년보다 16.9% 증가, 국민 1인당 연간 499만원 혜택 -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국토녹화 50주년을 맞이하여 평가한 산림의 공익기능 가치가 2020년 기준으로 259조원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1960년 이후 약 120억 그루의 나무를 심고 잘 가꾸어 산림의 전체 나무부피(임목축적)는 14배나 증가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국민은 울창한 산림으로부터 1인당 연간 499만원의 혜택을 받고 있다.

 

 ○ 이 평가액은 이전 2018년 기준 평가액 221조원에서 38조원(16.9%)이 증가한 금액으로, 2020년 국내총생산(GDP) 1,941조원의 13.3%, 농림어업총생산(34.3조원)의 8.1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 산림의 공익기능은 2018년과 같이 12개 기능을 평가하였다. 온실가스흡수․저장기능이 97.6조원으로, 총평가액 중 가장 높은 37.8%를 차지하였다. 이어 산림경관제공기능 31.8조원(12.3%), 산림휴양기능 28.4조원(11.0%), 토사유출방지기능 26.1조원(10.1%), 산림정수기능 15.2조원(5.9%) 순으로 평가되었다(첨부 1).

 

 ○ 그 외 수원함양기능 12.1조원(4.7%), 산소생산기능 11.6조원(4.5%), 생물다양성보전기능 11.6조원(4.5%), 토사붕괴방지기능 11.5조원(4.4%), 산림치유기능 6.7조원(2.6%), 대기질개선기능 5.3조원(2.0%), 열섬완화기능 0.6조원(0.3%)으로 뒤를 이었다.

 

 

□ 수원함양기능을 제외한 11개 공익기능의 평가 방법은 2018년에 적용한 방법과 같다. 대부분의 공익기능 평가액은 공익기능 발휘량과 대체비용 또는 대체가격의 상승 등으로 증가하였다. 이 가운데, 산림휴양 기능은 국민 총 여가비용의 3.8% 상승으로, 산림치유 기능은 등산 활동에 참여한 인구 비율이 20.2% 포인트 증가하여 평가액이 상승하였다.

 

 ○ 그러나 수원함양기능, 대기질 개선기능, 열섬 완화기능의 평가액은 2018년과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수원함양기능의 평가액 감소는 적용한 방법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였다. 종전에는 수원함양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목적댐 운영비를 대체비용으로 적용하였으나 이번 평가에서는 수자원의 용수 이용 비율에 따른 수도 요금을 적용하였다. 이런 이유로 산림의 수원함양기능은 2018년에 비해 0.3억톤이 증가하였으나 적용 단가의 하락으로 평가액은 6.3조원이 감소하였다. 2018년에 적용한 방법으로 산정하면 0.3조원이 증가한다.

 

 ○ 대기질 개선기능의 평가액은 코로나19 팬데믹의 발생으로 대기 중 오염물질 농도가 감소하여 산림의 오염물질 흡수량이 줄어든 결과로, 평가액 감소가 공익기능의 실질적 감소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열섬 완화기능 역시 2018년~2020년 사이에 1인당 생활권 도시숲 면적이 10.2㎡에서 11.5㎡로 1.3㎡가 증가하여 도시의 온도완화 기능은 증진되었으나 2018년 대비 전력시장 가격이 26.3%가 하락하여 평가액이 감소하였다.

 

□ 산림의 공익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은 입목지와 산림에서 매년 자라나는 입목 생장량의 감소였다. 지난 2년간 약 3만6천ha의 입목지가 감소하였는데, 산지를 농지나 대지와 같이 다른 용도로 전환하는 산지전용 면적이 약 1만5천ha를 차지한다. 입목지의 감소 중 산지전용은 장기적으로 공익기능 감소에 영향을 주며, 수확 벌채지와 피해목 벌채지는 의무조림을 통해 다시 입목지로 전환된다는 측면에서 그 영향은 상대적으로 일시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온실가스 흡수・저장기능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작년까지 저장한 탄소저장량에 올해 새롭게 흡수한 탄소량을 더하여 평가하였다. 2018년~2020년 사이에 나무에 포함된 총 탄소저장량은 증가하였지만 매년 새롭게 증가하는 탄소량인 순흡수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6,149만톤으로 정점을 보인 이후 2018년 4,560만톤, 2020년 4,052만톤으로 감소하고 있다. 산림의 온실가스 순흡수량의 감소는 산소생산기능과 평가액의 감소로 이어졌다.

 

□ 산림의 공익기능을 증진하려면 공익기능의 원천인 산림면적의 감소 추세를 완화해야 한다. 또한 산림의 다양한 공익기능이 적절하게 발휘될 수 있도록 기능별 숲가꾸기를 적기에 추진하고, 최근 국민적 관심사인 산불로 인한 산림자원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경제림을 대상으로 산림순환경영을 실행하여 매년 자라나는 나무부피(순임목축적)를 늘려야 한다.

 

□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지난 50년간 국토녹화의 성공으로 만들어진 울창한 산림은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다양한 공익기능을 선물로 주고 있습니다. 산림의 공익기능에 대한 국민의 요구는 앞으로 더욱 커질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기본통계가 갱신되는 5년 주기로 산림의 공익기능 가치를 평가할 계획이며 앞으로 산림의 공익기능을 더욱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연구를 강화하겠습니다.”라는 계획을 밝혔다.

 

첨부 1. 2020년 기준 산림공익기능별 평가결과

 첨부 2. 2018년과 2020년 기준 산림공익기능 평가액 비교

 첨부 3. 연도별 산림공익기능 평가액 추이

 첨부 4. 산림공익기능별 평가액 점유율

 

 

<첨부 1>

<2020년 기준 산림공익기능별 평가결과>

 

순  위

기  능

평가액(조 원)

점유율(%)

총 평 가 액

258.5

100.0

1

온실가스흡수ㆍ저장

97.6

37.8

2

산림경관제공

31.8

12.3

3

산림휴양

28.4

11.0

4

토사유출방지

26.1

10.1

5

산림정수

15.2

5.9

6

수원함양

12.1

4.7

7

산소생산

11.6

4.5

8

생물다양성보전

11.6

4.5

9

토사붕괴방지

11.5

4.4

10

산림치유

6.7

2.6

11

대기질개선

5.3

2.0

12

열섬완화

0.6

0.3

 

 

<첨부 2>

<2018년과 2020년 기준 산림공익기능 평가액 비교>

 

구    분

평가액(십억 원)

증감 원인

2018년

2020년

증감액

총 평 가 액

221,151

258,543

37,392

 

① 수원함양

18,345

12,069

△6,276

임령 증가에 따른 저류량 증가(0.3억톤)

다목적댐 운영비 적용에서 용수이용비율 적용으로 평가액 하락(※ 동일 방식 적용시 0.3조원 증가)

② 산림정수

13,564

15,229

1,665

입목지면적은 감소(△36천ha)

호우일수 증가(25일 → 41일)로 정수 평가액 증가

③ 토사유출방지

23,535

26,111

2,576

입목지 면적 감소로 토사유출방지량은 감소

사방댐 건설단비 상승으로 토사유출방지비용 증가
(13,427원/㎥[’18] → 15,035원/㎥[’20] )

④ 토사붕괴방지

8,111

11,462

3,351

임령 증가로 토사붕괴방지량 증가

( 708백만 ㎥[’18] → 714백만 ㎥[’20] )

산사태 복구비 증가

( 109백만원/ha[’18] → 153백만원/ha[’20] )

⑤ 온실가스

   흡수・저장

75,641

97,634

21,993

 

   (입    목)

45,314

59,508

14,194

임목축적 증가 및 탄소배출권 거래가격 상승

(24천원/톤[’18]  → 30천원/톤[’18-’20 평균] )

   (산림토양)

29,619

37,173

7,554

입목지면적은 감소

탄소배출권 거래가격 상승

   (목재제품)

708

952

245

국산목재제품 누적생산량 증가

탄소배출권 거래가격 상승

⑥ 산소생산

13,087

11,631

△1,456

순입목생장량 감소로 산소생산량 감소

(33백만 톤[’18] → 29백만 톤[’20])

⑦ 대기질개선

5,871

5,260

△611

오염물질 농도 감소로 오염물질 흡수량 감소

(97만 톤[’18] → 78만 톤[’20])

⑧ 열섬완화

810

667

△143

생활권도시림면적은 증가(1.4㎡/명)하였으나

전력시장판매가격 하락으로 평가액 감소

(95원/KWh[’18] → 69원/KWh[’20])

⑨ 산림경관제공

28,359

31,786

3,427

주택가격 상승으로 산림경관가치 증가

⑩ 산림휴양

18,431

28,428

9,997

국민 총여가비용 증가로 인한 평가액 증가

⑪ 산림치유

5,151

6,684

1,533

국민의 등산활동 참가 비율 증가

(67%[’18] → 87.2%[’21])

⑫ 생물다양성 보전

10,247

11,583

1,335

바이오산업 투자액 증가로

(1.5조원[’18] → 1.7조원[’20]) 평가액 증가

 

 

<첨부 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a8c09bf.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64pixel, 세로 661pixel

<연도별 산림공익기능 평가액 추이>

 

 

 

 

<첨부 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230320_18422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87pixel, 세로 1084pixel

<산림공익기능별 평가액 점유율>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산림청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기상청] 기상청, 정부 합동으로 2022년 이상기후 보고서 발간
다음글 [탄소중립위원회] [보도자료]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계획에 대한 과학기술계 의견 청취를 위한 토론회 개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