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환경부] 2021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6억 7,960만톤 예상

 

 

2021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6억 7,960만톤 예상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21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공개 -

 

 

□ 확정 통계보다 1년 앞서 공개하는 것으로 전년 대비 2,300만톤 증가

□ 코로나19 이후 산업활동 회복과 이동수요 증가 등이 주요 원인

□ 세계 평균 대비 증가율 낮고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 개선

□ 2021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 7,960만톤으로, 전년보다는 3.5% 증가했으며, 배출정점을 기록한 2018년보다 6.5% 낮게 나타났다.

 

 ○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서흥원)는 유관기관의 자료*, 배출권거래제 정보 등을 활용하여 2021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6월 28일 추계, 공개했다.

    * 2021년 에너지통계월보, 수출입통계, 가축동향조사 등

 

< 2010년 이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

 

 

 

 ○ 이번 배출량은 확정 통계보다 1년 앞서 잠정 산정한 결과로 정책수립·운영, 온실가스 관련 분석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산업계의 생산 활동이 회복되고 이동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 산업생산지수 및 고속도로 교통량 전년 대비 각각 7.6%, 7.0% 증가 (자료 : 광업제조업동향조사, 고속도로 공공데이터)

 

 ○ 다만, 우리나라의 배출량 증가율(3.5%)은 전세계 평균(5.7%) 및 주요국 증가율(미국 6.2%, 유럽연합 7%, 중국 4.8%)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 출처 : 글로벌 에너지 리뷰, 2021년 CO2 배출량(국제에너지기구, 2022)

□ 아울러, 온실가스 배출효율성 지표인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은 356톤/10억원으로 2011년 이후 계속 개선되는 추세이며, 이는 2021년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4% 증가한 반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보다 낮은 3.5% 증가한 것이다.

 

□ 분야별 배출량 비중을 살펴보면, 에너지 분야가 5억 9,060만톤으로 86.9%를 차지했으며, 산업공정 7.5%(5,100만톤), 농업 3.1%(2,120만톤), 폐기물 분야가 2.5%(1,680만톤) 순으로 분석됐다.

 

< ’21년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비중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7e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20pixel, 세로 1308pixel

 

□ 에너지 분야는 제조업·발전·수송부문을 중심으로 생산량 및 연료 소비 증가로 배출량이 2020년에 비해 3.6% 증가했다.

 

<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7e421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84pixel, 세로 424pixel

 

 ○ 제조업 부문에서는 화학 580만톤(12.4%↑), 철강 440만톤(4.7%↑) 등 전체 배출량이 1,270만톤(7.0%)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 발전 부문은 산업활동 회복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 전년에 비해 400만톤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발전량은 4.5% 증가*했으나, 기존 석탄발전 감축과 고효율 신규 석탄설비 운용, 원단위가 비교적 낮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증가(13%) 및 재생에너지 발전 증대** 등의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온실가스 배출량은 1.8% 증가에 그친 것으로 추정되었다.

 

    * ’20년 552 테라와트시(TWh) → ’21년 577 테라와트시(TWh) (자료 : 전력통계속보)

    ** 석탄 발전비중(‘20 35.6% → ’21 34.3%) 감소 및 고성하이 1·2호기 및 신서천 1호기 신설, LNG 비중 증가(26.4% → 29.2%), 신재생 발전 증가(6.6% → 7.5%)

 

 ○ 수송 부문은 이동수요 증가*로 배출량이 전년보다 160만톤 증가(1.7%↑)한 것으로 나타났다.

 

    * 휘발유, 경유 소비량이 각각 5%, 1% 증가,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 7% 증가

 

 ○ 상업‧공공‧가정 부문은 연초 한파 등의 영향으로 도시가스 사용이 늘어(2%↑) 배출량이 전년보다 60만톤 증가(1.4%↑)한 것으로 추정됐다.

 

□ 산업공정 분야 배출량은 시멘트, 반도체 등 생산량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5.2% 증가한 5,100만톤으로 추정됐다.

 

□ 한편, 농업 분야는 가축 사육두수 증가와 경작면적 감소의 상쇄로 전년대비 0.9% 증가한 2,120만톤 수준으로 나타났다.

 

 ○ 폐기물 분야는 폐기물 발생량 증가에도 재활용 증가 및 누적 매립량 감소 경향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6% 감소한 1,680만톤을 배출한 것으로 예상됐다.

 

□ 서흥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2021년에는 그간 코로나19로 위축되었던 산업활동이 회복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소비가 증가했고, 국내에서도 발전량 증가, 산업생산 활동 회복, 수송용 연료 소비 증가 등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했다”라고 말했다.

 

 ○ 아울러 “2022년에도 에너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에, 2030년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인 감축노력을 이행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붙임

 

 2021년 잠정배출량 분야별 증감

 

총 괄

 

 □ 배출 추이

 

  ㅇ ’10년 656백만톤 배출 이후 지속 증가하여 ’18년 727백만톤으로 정점 도달

 

  ㅇ 석탄화력 감소, 경기위축 등으로 ’19·’20년 연속으로 배출량이 감소하였으나, ’21년은 경기회복으로 전년보다 3.5% 증가한 679.6백만톤 배출 예상

 

    - 전세계 평균(5.7%) 및 주요국(美 6.2%, EU 7.0%, 中 4.8% 등) 증가율보다 낮은 수준(출처 : 국제에너지기구)

 

 

 

< ’16 ∼ ’21년 온실가스 총배출량 추이 >

 

                                                                         (단위 : 백만톤 CO2eq.)

 

구 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잠정*)

’21년

(잠정**)

 총배출량

 (전년 대비 증감률)

693.6

710.7

727.0

701.4

656.6

679.6

(0.1%)

(2.5%)

(2.3%)

(-3.5%)

(-6.4%)

(3.5%)

   에너지

 

602.2

615.6 

632.6 

611.5 

570.0 

590.6 

(0.3%)

(2.2%)

(2.8%)

(-3.3%)

(-6.8%)

(3.6%)

   산업공정

 

53.5

56.5

55.8

52.0

48.5

51.0

(-1.9%)

(5.6%)

(-1.2%)

(-6.8%)

(-6.7%)

(5.2%)

   농업

 

20.8

21.0

21.1

21.0

21.0

21.2

(-0.8%)

(0.7%)

(0.8%)

(-0.8%)

(0.3%)

(0.9%)

   폐기물

 

17.1

17.7

17.5

16.9

17.1

16.8

(1.7%)

(3.5%)

(-1.0%)

(-3.6%)

(0.9%)

(-1.6%)

   * ‘21년 6월 잠정치(649백만톤) 발표이후, 에너지통계 및 산업공정 자료 갱신 등으로 변경

  ** ’21년 명세서초안, 대체자료(에너지월보, 수출입통계, 가축동향조사) 및 전년동(중전기기, 농경지토양 등) 등을 활용한 추정치

 

 □ ’21년 산정결과

 

  ㅇ (산정방식) 분야별 유관 통계를 활용하여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방법에 준용하여 잠정치 산정

 

    - (활용자료) 에너지통계월보, 명세서, 수출입통계, 석유화학수급통계, 가축동향조사, 폐기물통계 등

 

  ㅇ (증감원인) 세계 경기회복에 따른 수출 및 제조업·서비스업 생산활동 증가로 인해 에너지 소비·산업공정 등 배출량 증가

 

    - 폐기물을 제외한 전 분야에서 전년보다 배출량 증가

 

      * (에너지) 발전‧열 생산 4백만톤↑, 화학 6백만톤↑, 철강 4백만톤↑, 수송 2백만톤↑ (산업공정) 시멘트 0.8백만톤↑, F-gas 냉매 1.1백만톤↑, (농업) 장내발효 0.2백만톤↑, (폐기물) 0.3백만톤↓

 

 □ 원단위 배출량

 

  ㅇ 1인당 배출량

 

    - (’19) 13.5톤/명 → (’20) 12.7톤/명 → (’21) 13.1톤/명

    * ’21년 인구는 전년대비 0.2% 감소한 반면 배출량은 3.5% 증가하여 원단위 악화

 

  ㅇ GDP당 배출량

 

    - (’19) 378.6톤/십억원 → (’20) 357.5톤/십억원 → (’21) 355.7톤/십억원

    * ’21년 국내총생산(GDP, 실질)은 코로나 19로 침체되었던 경기가 회복함에 따라 전년보다 4% 증가한 데 반해 배출량은 3.5% 증가 수준으로 그치면서 원단위 개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db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5pixel, 세로 30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db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6pixel, 세로 307pixel

 

 

분야별 증감요인 (’19년 확정, ’20년 초안, ’21년 잠정)

 

 

1. 에너지 분야

 

 □ 발전·열생산 (’19) 248.7백만톤 → (’20) 218.1(12%↓) → (’21) 222.0(1.8%↑)

 

  ㅇ (총발전량) 코로나19 영향 완화로 인한 산업·건물용 전력수요 상승*으로 총발전량은 ’20년에 비해 4.5% 증가

 

      * (전력 판매량) 제조업 +5%, 서비스업 +3%, 가정용 +5%

 

  ㅇ (원별 발전량) 석탄 0.8% 증가, 원전 1.4% 감소, LNG 15.4% 증가, 신재생 5.5% 증가

 

  ⇒ 발전량이 4.5% 증가하였으나, 원단위가 비교적 낮은 LNG 발전 증가(13%), 고효율 신규 석탄설비* 운용 등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대비 1.8% 증가에 그침

 

      * 고성하이 1·2호기, 신서천 1호기

      ※ 전력원단위(톤CO2eq/MWh) : (’19) 0.442 → (’20) 0.395 → (’21) 0.385

 

 

< 에너지원별 발전량 및 배출량 추이 >          

 

구  분

(단위 : TWh, 백만톤)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발전량

(비중)

배출량

(증감률)

발전량

(비중)

배출량

(증감률)

발전량

(비중)

배출량

(증감률)

563.0

248.7

552.1

218.1

576.7

222.0

(100%)

(-7.3%)

(100%)

(-12.3%)

(100%)

(1.8%)

원자력

145.9

-

160.2

-

158.0

-

(26%)

-

(29%)

-

(27%)

-

석탄

227.4

188.2

196.3

157.0

198.0

153.0

(40%)

(-8%)

(36%)

(-17%)

(34%)

(-3%)

LNG

144.4

57.0

145.9

58.5

168.3

65.9

(26%)

(-5%)

(26%)

(3%)

(29%)

(13%)

신재생 등*

42.1

0.4

47.5

0.3

50.1

0.3

(7%)

(0.2%)

(9%)

(-20%)

(9%)

(10%)

유류

3.3

3.2

2.3

2.3

2.4

2.9

(1%)

(-30%)

(0.4%)

(-27%)

(0.4%)

(22%)

※ (출처) 발전량 : 전력통계속보 제 520호(한국전력공사)

 * 양수, 기타발전원 포함한 수치. 신재생에너지 발전원 중 바이오연료는 CO2를 제외하고 CH4, N2O만 배출량 산정

 

 

 □ 철강 (’19) 96.4백만톤 → (’20) 93.1(3.4%↓) → (’21) 97.5(4.7%↑)

 

  ㅇ ’21년 자동차와 선박 등 수요 산업 회복과 중국 철강 생산 감소의 영향 등으로 철강 생산량이 회복하며 반등(출처 : 에너지수요전망)

 

  ⇒ ’21년 유연탄 공급량 증가(5%)에 따라 배출량 증가(4.4백만톤↑)

 

< 철강업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96.4

93.1

97.5

제철용 유연탄 공급량(천톤)

34,959

33,797

35,326

전로강 생산량(천톤)

48,715

46,261

48,028

철강업 생산지수(2015=100)

98

92

97

※ (출처) 유연탄 :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전로강 : 철강협회자료,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 석유화학 (’19) 46.4백만톤 → (’20) 46.9(1.1%↑) → (’21) 52.7(12.4%↑)

 

  ㅇ ’21년 석유화학산업 경기회복 및 설비 증설* 영향 등으로 생산활동 증가(출처 : 에너지수요전망)

 

       * NCC 설비용량 6% 증가(여천NCC 34만톤, LG화학 80만톤 등) (출처 : 한국석유화학협회)

 

  ⇒ ’21년 기초유분 생산량 증가(11%)에 따라 배출량 증가(5.8백만톤↑)

 

< 석유화학업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46.4

46.9

52.7

기초유분 6종 생산량(천톤)

31,940

30,543

33,943

석유화학업 생산지수(2015=100)

108

104

112

※ (출처) 기초유분(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벤젠, 톨루엔, 자일렌) : 석유화학수급편람, 통계(석유화학협회),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 수송 (’19) 101.0백만톤 → (’20) 96.3(4.7%↓) → (’21) 97.9(1.7%↑)

 

  ㅇ ’20년 코로나19 방역정책으로 이동 수요*가 감소했으나, ’21년에는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로 이동수요 증가(출처 : 에너지수요전망)

 

       * ’19 ∼ ’20년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 3% 하락한 이후, ’21년 7% 증가

 

  ⇒ ’21년 도로 유류 소비 증가(휘발유 5%, 경유 1%)로 배출량 증가(1.6백만톤↑)

 

      ※ ’19∼’21년은 코로나 19관련 방역조치에 따른 이동수요 증감이 배출량 증감의 주요인으로, 기존 유류가격과의 상관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됨

 

< 수송부문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101.0

96.3

97.9

국제유가(US$/bbl, Dubai유)

64

42

69

휘발유

국내판매가(원/ℓ)

1,470

1,380

1,590

소비량(천kℓ)

12,868

12,622

13,220

경유

국내판매가(원/ℓ)

1,340

1,190

1,390

소비량(천kℓ)

23,001

22,205

22,473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백만 대)

1,660

1,614

1,727

※ (출처) 유류가격, 소비량 :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교통량 : 고속도로 공공데이터 포탈(한국도로공사)

 

 □ 상업․공공․가정 (’19) 45.6백만톤 → (’20) 43.6(4.3%↓) → (’21) 44.2(1.4%↑)

 

  ㅇ (상업․공공) ’20년에 코로나19*로 상업부문 에너지소비가 감소하였으나, ’21년 서비스업 경기회복 영향으로 도시가스 소비 증가(+2.0%)(출처 : 에너지수요전망)

 

      * 휴업, 영업시간 축소, 집단·다중이용시설 이용제한 등 도소매업 GDP 6% 하락 및 도시가스 소비 감소 지속(1분기-11% → 2분기-16% → 3분기-11% → 4분기-8%)

 

  ㅇ (가정) ’19~’21년 유사한 수준 유지 (’19) 31.6백만톤 → (’20) 31.7 → (’21) 31.9

 

  ⇒ ’21년 전년 감소에 대한 기저효과 등으로 배출량 증가(0.6백만톤↑)

 

< 상업·공공·가정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합계

45.6

43.6

44.2

상업·공공

13.9

11.9

12.3

가정

31.6

31.7

31.9

평균기온(℃)

13.5

13.2

13.7

난방도일(일)

2,526

2,499

2,457

도시가스 소비(천 toe)

14,187

14,189

14,467

※ (출처)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2. 산업공정 분야

 

 □ 광물산업(시멘트 생산) (’19) 24.9백만톤 → (’20) 22.7(8.9%↓) → (’21) 23.5(3.6%↑)

 

  ㅇ ’20년 건설경기 악화에 따라 시멘트 생산이 감소하였으나, ’21년 SOC 예산 증액, 공공주택 공급확대 등에 따른 건설경기 회복세 (출처 : 에너지수요전망)

 

  ⇒ ’21년 시멘트 생산량 증가(6.5%)에 따라 배출량 증가(0.8백만톤↑)

 

< 시멘트 생산업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24.9

22.7

23.5

시멘트 생산량(천톤)

54,018

50,040

53,278

시멘트 생산지수(2015=100)

94

87

92

※ (출처) 생산량 : 사업보고서(전자공시시스템),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 불소계가스 소비 (’19) 15.8백만톤 → (’20) 15.1(3.9%↓) → (’21) 16.4(8.4%↑)

 

  ㅇ   냉매가스는 ’20년 감소 후 ’21년 반등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반도체 업종은 ’20, ’21년 연속으로 생산활동 증가

 

  ⇒ ’21년 냉매 수입 증가*(배출량 1.1백만톤↑), 반도체 생산 활동 증가 등으로 배출량 증가(1.3백만톤↑)

 

      * 냉매가스 순수입량 추이: (’19∼’20)HFC-134a 6%↓; HFC-152a 3%↓, (’20∼’21) HFC-134a 18%↑; HFC-152a 39%↑

 

      ※ 기초자료 부재로 중전기기(’21)는 직전년도 배출량 적용

 

< 불소계 온실가스(F-gas) 소비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15.8

15.1

16.4

냉매가스

6.3

5.9

7.1

반도체·액정제조

6.2

5.9

6.01)

중전기기

3.2

3.3

3.32)

냉매가스

HFC-134a 순수입량(톤)

4,624

4,337

5,111

HFC-152a 순수입량(톤)

2,244

2,179

3,033

반도체 및  액정제조

반도체 생산지수(2015=100)

188

231

299

액정 생산지수(2015=100)

99

93

90

※ (출처) 냉매 : 수출입통계(관세청),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1)명세서 초안(’21), 2)전년동(‘20)

 

 

 

3. 농업 분야

 

 □ 축산 (’19년) 9.5백만톤 → (’20년) 9.6(1.2%↑) → (’21년) 9.8(2.1%↑)

 

  ㅇ 지속적인 육류 소비 증가에 따라 한육우 사육두수 증가

 

  ⇒ ’21년은 한육우 5.3%, 돼지 0.5% 등 가축 사육두수 증가의 영향으로 배출량 증가(0.2백만톤↑)

 

< 축산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9.5

9.6

9.8

한육우 사육두수(천두)

3,202

3,353

3,530

돼지 사육두수(천두)

11,377

11,185

11,245

※ (출처) 가축동향조사(통계청)

 

 

 □ 경종(벼재배) (’19년) 5.9백만톤 → (’20년) 5.8(1.8%↓) → (’21년) 5.8(0.3%↓)

 

      ※ 경종부문 중 농경지토양, 작물잔사소각 배출량(‘21)은 자료 부재로 ’20년 전년동 적용

 

  ㅇ 쌀소비 감소로 벼재배 면적이 지속 감소

 

  ⇒ 2년 연속 벼재배 면적이 전년 대비 1.1%, 0.5% 감소하며 배출량 감소

 

< 벼재배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5.9

5.8

5.8

논벼 재배면적(천ha/연)

729.6

726.2

722.5

※ (출처) 농업면적조사(통계청)

 

 

4. 폐기물 분야

 

 □ 폐기물 (’19년) 16.9백만톤 → (’20년) 17.1(0.9%↑) → (’21년) 16.8(1.6%↓)

 

  ㅇ 지속적으로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처리 형태는 매립이 감소*하고 소각 및 재활용이 증가하는 경향

 

      * 최근 10년간 전체 매립량은 연평균 2.1% 감소하는 추세

 

  ⇒ ’21년에는 최근 수년간 누적된 매립량 감소 추세 및 바이오매스를 제외한 소각량 감소*의 영향으로 배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

 

      * ’21년 소각량 증가분의 대부분이 CO2를 산정하지 않는 바이오매스(오니류 등)에서 기인

 

 

< 폐기물부문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16.9

17.1

16.8e

발생량

(만톤/년)

 

18,149

19,546

20,087e

처리량

(만톤/년)

매립량

 

1,114

1,002

1,040e 

소각량**

 

520

531

549e

※ (출처)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환경부)

* 예상 배출량 및 지표 추정치(e, expected)로, ’20∼‘21년 인구·제조업, 건설업 GDP 증감 및 ’20년 매립, 소각비율로 추정한 ‘21년 매립, 소각량을 활용하여 산정

**

하수처리 오니류 등을 제외시 (’19) 242.0 만톤/년→ (’20) 272.3 → (’21) 272.1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환경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환경부]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은 중소기업 우선 지원
다음글 [중소벤처부] 신산업 분야 유망 규제자유특구 기업을 찾아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