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News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Title [환경부] 수상태양광 수출 힘 싣는다…합천댐 현지에서 학술회·기술답사

 

수상태양광 수출 힘 싣는다…합천댐 현지에서 학술회·기술답사 

- 재생에너지 주제로 학술회 개최 및 합천댐 수상태양광 기술답사 실시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한국수자원공사(사장직무대행 정경윤)는 수상태양광 기업의 수출 지원을 위해 국내 대표적인 수상태양광 현장인 경남 합천댐 일원에서 4월 12일부터 14일까지 학술회(세미나) 및 기술답사(테크투어)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합천군을 비롯해 수상태양광 관련 기업(한화큐셀, 스코트라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먼저 학술회(세미나)는 ‘합천군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4월 12일 오후 2시부터 합천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린다. 이날 학술회에서는 합천댐 내 주요 재생에너지원인 수력발전과 수상태양광을 주제로 그간의 추진 경과와 계획, 기술개발 동향 등을 소개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토론회가 펼쳐진다.

 

  이어서 4월 13일부터 이틀간 2회에 걸쳐 환경부 및 한국수자원공사 공동 주관으로 수상태양광 수출기업 지원을 위한 ‘합천댐 수상태양광 기술답사(테크투어)’가 진행된다.

 

  이번 기술답사는 국내외 수상태양광 관계자 및 해외구매처(바이어)를 대상으로 합천댐 내에 설치되어 있는 수상태양광을 둘러보고 주민참여형 사업유형을 소개한다.

 

 

  합천댐에 설치된 수상태양광은 재생(태양)에너지와 해양기술(조선+계류)이 결합된 융복합 발전시설로 태양광 발전시설을 물 위에 설치한 것이다.

 

  발전시설을 물 위에 설치하기 때문에 산림훼손이 없고, 수면의 냉각효과로 육상태양광보다 발전효율이 약 5% 정도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합천댐 수상태양광은 2012년에 설치된 이후로 지금까지 10년 넘게 환경안전성을 평가받은 결과 수질‧퇴적물, 생태계 변화 등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댐 수면을 활용한 수상태양광은 한정적인 국내 재생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주민참여제도를 활용하여 발전수익을 지역주민들과 공유하며 점차 설치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환경부는 앞으로 2030년까지 댐 수면 15곳에 0.5G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하고, 발전사업 규모를 1.1GW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박병언 환경부 수자원정책과장은 “환경부는 앞으로도 수상태양광을 철저한 환경안전성과 주민수용성의 확보를 전제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수상태양광이 국가 2030 탄소감축 목표달성과 탄소국경세 극복을 위한 경쟁력 확보 및 국내 연관 산업계 활성화를 통한 수출산업 진흥에 기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재생에너지 세미나 및 기술투어 개최 계획.
 2. 수상태양광 사업 현황 및 계획.  끝.

 

 

담당 부서

수자원정책관실

책임자

과  장

박병언

(044-201-7611)

<총괄>

수자원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선진수

(044-201-7618)

 

한국수자원공사

책임자

처  장

주인호

(042-629-2900)

 

기후탄소사업처

담당자

부  장

이형석

(042-629-3351)

 

 

 

붙임 1

 

 재생에너지 세미나 및 기술투어 개최 계획

 

 

◈ 제20회 국제 그린에너지 엑스포*와 연계한 합천군 에너지 세미나 및 합천 수상태양광 Tech Tour 추진으로 지역 상생 청정 에너지 개발 우수 사례 공유

  * ‘23. 4.12 ~ 4.14(3일간) 대구시·경상북도 주최로 대구엑스코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전시 행사

 

1. 개 요

 

□ (일    시) 2023. 04. 12.(수) ~ 14 (금)

 

□ (장    소) K-water 합천댐 일원 및 합천군 합천박물관

 

합천댐지사

물 문화관

취수탑

합천박물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합천댐지사.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0pixel, 세로 38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65933876754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73pixel, 세로 5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220607_135817.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73pixel, 세로 5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mall합천박물관전경3.jpg.middle.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4pixel, 세로 680pixel

사무동/발전소

브리핑

원거리 수태 조망

그린에너지 세미나

 

□ (행사계획) 세미나 1회, Tech Tour 2회 추진

 

일 시

내 용

 비 고

4월 12일(수)

14:00 ~ 17:00

합천군 그린에너지 세미나 추진

※ 100여명 내외

합천박물관

4월 13일(목)

09:00 ~ 13:00

내국인/외국인 대상 Tech Tour 실시

※ 40여명 내외

대구EXCO ↔ 합천수상태양광

4월 14일(금)

10:00 ~ 15:00

해외 바이어 대상 Tech Tour 실시

※ 해외 바이어 20여명

대구EXCO ↔ 합천수상태양광

 

 

붙임 2

 

 수상태양광 사업 현황 및 계획

 

□ (운영 중) 상용화 모델 개발 이후 3개댐 49MW 운영 중이며, 최초 상용화부터(’12년~) 환경 안전성 검증과 환경모니터링 지속 시행 중

 

    * 수상태양광 설치 전·후 환경분석 결과 수질‧퇴적물, 생태계 변화 없음(KEI 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98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9pixel, 세로 25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98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4pixel, 세로 26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98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5pixel, 세로 267pixel

 

22년

합천댐(0.5MW)

합천댐(41MW)

보령댐 2MW

충주댐 3MW

충주댐 2.6MW

 

□ (~’22년 수상태양광 준공현황) 합천댐, 보령댐 등 49.6MW

 

구    분

합천댐 수상Ⅰ

합천댐 수상Ⅱ

보령댐 수상

충주댐 수상Ⅰ

충주댐 수상Ⅱ

설치년도

2012

2021

2016

2017

2022

설치지역

합천군 용주면

합천군 봉산면

보령시 미산면

제천시 한수면

제천시 한수면

설비용량

0.5MW

41.5MW

2MW

3MW

2.6MW

설치비용

23억원

767억원

56억원

82억원

56억원

 

□ (개발 중 : ‘23년) 6개소 176MW 규모사업 개발 중

 

 

구분

합계

착공

발주

개발

소양강

군위

임하

소양강

충주

합천

용량(MW)

176.3

8.8

3

45

59.5

40

20

사업비(억원)

3,947.5

156

78.5

732

1,558

1,071

352

 

□ (개발 계획) `30년까지 단계적 확대를 통해 1.1GW 규모 개발 예정

 

< 연차별 확대 계획(누계 : ~‘30년, 단위 : MW) >

 

구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비고

개발(계획)

126

186

310

387

492

588

755

896

1,078

상수원 15개댐

착공

106

126

186

310

387

442

492

521

617

준공

49.6

61

106

126

214

316

397

442

492

File
View Original URL View Original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Sources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62027&call_from=rsslink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Prev [외교부] 박진 장관, 그랜트 샵스 영국 에너지안보·탄소중립부 장관 접견
Next [산림청]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