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News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Title [농림부] 농식품부, 「2022 국제 농업 공적개발원조 토론회 (글로벌 농업 ODA 포럼)」 개최

 

농식품부, 「2022 국제 농업 공적개발원조 토론회
(글로벌 농업 ODA 포럼)」 개최

 - 11월 21~22일간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세계식량계획(WFP)‧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등 국제기구 및 전문가 참여,
식량안보 및 영양확보를 위한 국제개발 협력방안 모색 -

 

 

주요 내용

 

□ 농식품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식량안보 및 영양확보를 위한 국제개발 협력방안 모색’을 주제로 국제 농업 공적개발원조 토론회(글로벌 농업 ODA 포럼) 개최

 

 ○ 일시/장소: 11월 21일(월) ~ 22일(화) / 영상(유튜브)&현장(서울 메이필드 호텔)

 

 ○ 구성 : 개회식*(11월 21일 13시), 4개 주제**(11월 21일 14시부터 22일 17시까지)

 

   * (개 회 사)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축    사) 반기문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이사장
(기조연설) 라미로 로패스 다실바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차장, 알바로 라리오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총재, 울리카 모디어 유엔개발계획(UNDP) 사무차장, 취동위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사무총장

 

   ** ①분쟁, ②기후변화, ③탄소중립, ④전염병 총 4개 주제로 구성(붙임1)

 

□ 정황근 농식품부장관은 올 한해 기후변화,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전 세계가 심각한 식량 위기를 겪고 있어 국제사회의 협력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농식품부도 국제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세계 식량문제 해결을 위한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범정부 공적개발원조(ODA) 통합행사 기간인 개발 협력 주간(11.21.~11.25.)에 맞춰 ‘2022 국제 농업 공적개발원조 토론회(글로벌 농업 ODA 포럼)’를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대면(발표·토론자 현장 참석)·영상(유튜브 생중계) 회의 동시 개최

 

  이번 국제 농업 공적개발원조 토론회(글로벌 농업 ODA 포럼)는 작년 9월 개최된 유엔 푸드시스템 정상회의(UN Food Systems Summit)에서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해 제시된 다양한 농업 분야 협력과제들이 국제기구 등을 통해 어떻게 구체화되고 추진되고 있는지 상호 간에 점검하고 관련 내용을 널리 공유하고자 개최되었다.

 

  분쟁에 따른 식량안보 위협 및 기후변화 위기, 전염병 발생·확산에 따른 식량자원 감소 등에 대한 대응 방안을 각 국제기구에서 소개하고 관련 전문가들과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으로, 위기에 처한 식량 및 영양 문제 개선을 위한 다양하고 유용한 과제들을 발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황근 농식품부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올 한해는 러-우 사태, 기후변화, 코로나19 유행 등 여러 국제적 현안으로 전 세계가 유례없는 심각한 식량 위기를 겪고 있어 국제사회의 협력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라며, “이러한 중요한 시점에 국제 농업 공적개발원조 토론회(글로벌 농업 ODA 포럼)를 통해 식량안보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경륜과 지혜가 모아지길 바라며, 한국 정부도 국제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반기문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이사장은 축사에서 “코로나19, 러-우 사태 등으로 전 세계가 심각한 식량 위기를 겪고 있으며, 식량안보, 빈곤과 굶주림, 기후변화 위기로 인한 농업 분야 손실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제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매우 중요하고 꼭 필요하다. 앞으로도 농식품부와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통해 세네갈 등 개도국 발전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취동위 유엔 식량농업기구(UN FAO) 사무총장, 알바로 라리오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총재와 라미로 로패스다실바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차장, 울리카 모디어 유엔개발계획(UNDP) 사무차장 등도 기조연설을 통해 기후변화,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식량안보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적 차원의 협력 강화 필요성 등을 언급하였다. (붙임 2)

 

  본 행사는 4개 주제로 총 12개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4개 주제로 분쟁, 기후변화, 탄소중립, 전염병으로 구성되며, 각 주제와 관련하여 3개씩 총 12개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며, 주제 발표를 위해 각 국제기구의 국장급들이 발제자로 나서는 등 국제사회에서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한국국제협력단(KOICA), 민간기업, 대학 등 국내 공적개발원조(ODA) 담당 기관 및 민간·학계 전문가 등이 토론자로 참여하여 각 국제기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식량안보 위기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김철 농식품부 국제협력총괄과장은 “분쟁 및 기후변화 위기 등 식량안보와 관련한 공적개발원조(ODA)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 이슈 해결에 기여하면서 우리나라에 도움이 되는 공적개발원조(ODA)를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언급하였다.

 

  또한 “이번 국제 농업 공적개발원조 토론회(글로벌 농업 ODA 포럼)를 계기로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해 제시된 다양한 농업 분야 협력과제들이 각 국제기구에서 어떻게 발굴﮲추진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개도국에도 널리 공유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붙임 1. 토론회 세부 일정

     2. 기조연설자 주요 발언 요지

     3. 행사 포스터

 

 

붙임1

 

「2022 글로벌 농업 ODA 포럼」세부 일정

 

포럼 1일차: 2022. 11. 21. (월)

13:00~14:00

개    회    식

ㅇ 개회사(영상)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ㅇ 축  사(영상)         반기문         GGGI 이사장

ㅇ 사진촬영 및 홍보영상

14:00~16:00

세션 1 :  분쟁 [기조연설] Ramiro Lopes da Silva, Deputy Executive Director of WFP

               [좌장]    장현식, 서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겸임교수

소주제

발표자

중동 및 유라시아 등 분쟁으로 인한 푸드시스템 현황 및 식량안보 위협에 대한 IFAD 대응

Mr. Abdelkarim Sma

IFAD 선임경제학자

글로벌 식량안보 위기 관련 WFP 대응 및 한국과의 협력 방안

Mr. Brian Lander

WFP 비상상황실 부국장

글로벌 식량안보 위기 관련 IFAD 대응 및 한국과의 협력 방안

Ms. Tamara Nicodeme

IFAD 지역코디네이터, PIFA

[토론자] 송양훈(충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교수), 조정명(한국국제협력단 다자협력 인도지원실장) 허 장(국제농업 개발협력 센터 명예 선임 연구)

16:00~18:00

세션 2 :  기후변화 [기조연설] Alvaro Lario, President of IFAD

                  [좌장] 최진용,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소주제

발표자

우즈베키스탄의 녹색 성장을 위한 토양 테스트 현대화

Mr. Sergiy Zorya

WB 수석 농경제학자

농업 생산성 변화에 따른 농업 거버넌스 구축 및 실행

Mr . Aaron Drayer

GGGI 파트너십 책임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농업 비즈니스 모델 제시

(농업생산기반시설 중심으로)

Mr. Malle Fofana

GGGI 아프리카 담당이사

[토론자] 홍은미(강원대학교 에코환경과학전공 교수), 조재필(유역관리융합연구소 유역통합관리연구원), 남원호(한경대학교 사회안전시스템공학부 교수)

포럼 2일차: 2022. 11. 22. (화)

10:00~12:00

세션 3 :  탄소중립 [기조연설]  Ulrika Modeer, Assistant Secretary of UNDP

                   [좌장]      김창길, 서울대학교 겸임교수

소주제

발표자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UNDP의 저탄소 녹색성장 기술 대응 및 한국과의 협력 방안

Mr. Yusuke Taishi

지역 전문가, 기후 변화 적응 UNDP 지구 환경 재정부서

탄소중립을 위한 ADB의 녹색 가치사슬 구축 계획 및 한국과의 협력 방안

Mr. Qingfeng Zhang

ADB 농촌개발 및 식량안보 주제 그룹장

영양 안보를 위한 지속가능한 농업에서의 탄소중립

Mr. Leonard Leung

천연자원 및 농업 경제학자, ADB

[토론자] 김영우(UNDP 아시아 태평양 본부 환경자문관), 성재훈(한국농촌경제연구원 환경자원연구부 연구위원), 장주희(그린랩스 본부장)

14:00~16:00

세션 4 :  감염병 [기조연설]  Qu Dongyu, Director-General of FAO

                [좌장]      유한상,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소주제

발표자

감염병이 식량안보, 식량가격, 공급사슬 등에 미치는 영향 및 FAO 대응 방향

Mr. Thanawat Thiensin

FAO 동물 생산 보건과장

한-FAO ASF 사업 추진현황 및 성과

 - 아시아 개도국 아프리카돼지열병 및 고영향 초국경 돼지열병 통제 예방 역량 강화 기술지원 사업(‘20~’24)

Mr. Kachen Wonsathapornchai

FAO 초국경동물질병

긴급센터 아태지역 매니저

감염병 대응 관련 ILRI의 주요 사업 현황, 국제협력 필요 분야 및 한국과의 협력 방안

Mr. Fred Unger

동남아시아지역 사무소장, 국제축산연구소(ILRI)

[토론자] 오연수(강원대학교 수의과 대학 교수), 이후석(충남대학교 수의과 대학 교수), 신연경(농림축산검역본부 신종외래질병연구실 수의연구관)

 

 

붙임2

 

 기조연설자 주요 발언 요지

 

 

구  분

 기조연설 요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258c000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86pixel, 세로 594pixel

FAO

사무총장

◦ 최근 집약적 축산활동으로 인한 동물 질병 및 인수공통감염병의 발생이 증가하여 동물과 사람의 생명을 앗아갈 뿐만 아니라 경제적 피해도 주면서 식량안보를 위협하고 있음을 설명

◦ FAO의 글로벌 동물질병 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회원국들이 동물 질병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질병의 위험을 평가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축산, 글로벌 푸드시스템 전환, 식량안보 증진, 농촌 경제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 사람·동물·환경을 아우르는 원헬스 접근법을 증진하기 위해 WHO(세계보건기구), WOAH(세계동물보건기구), UNEP(유엔환경계획), IAEA(국제원자력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언급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fad 총재.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5pixel, 세로 632pixel

 

IFAD

총재

◦ 식량안보 문제의 다양한 원인 중 기후변화에 초점을 두어 가뭄,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가 일으키는 갈등과 분쟁에 대해 언급

◦ IFAD는 취약계층 중 소작농에 주목하여 이들에게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고 기후 스마트 농업을 지원하는 활동에 집중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하고 있음을 설명

◦ 기후 적응을 위한 한국과의 적극적 협력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을 포함한 파트너십 체결과 재정지원을 강화하여 세계 식량안보 강화 및 탄소중립을 향한 노력에 목표를 두고 활동하고 있음을 강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4b0b96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6pixel, 세로 272pixel

WFP

사무차장

◦ 분쟁과 갈등, 기후변화, 팬데믹 등으로 인해 식량 접근의 제한과 공급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고, 심각한 수준의 식량 불안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수는 ’22년 기준 사상 최고치인 3억 9400만 명으로 이는 팬데믹 이전에 비해 2억 명이 증가된 수치임을 설명

◦ WFP는 사회보호 프로그램을 통해 즉각적인 긴급 대응 지원뿐만 아니라 국가 시스템이 강화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고, 식량 시스템 촉진 및 지역사회 회복력 강화를 위한 사전 예방적이고 통합적인 접근법을 추진하고 있음을 밝힘

◦ WFP는 새마을 운동 등 한국의 성공사례를 전 세계에 적용하여 이를 바탕으로 기아가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전 세계 기관, 정부 등과 협력하기를 희망한다고 언급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Ulrika Modeer.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1pixel, 세로 303pixel

 

UNDP

사무차장

◦ 농업 상품을 변형하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국제적 차원의 노력이 다각적으로 필요함을 언급

◦ UNDP는 ‘20년부터 농식품부와 함께 진행하고 있는 캄보디아, 미얀마 프로젝트를 강조하며 이를 토대로 수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및 지원을 도움이 필요한 다른 지역으로 확대해 나가야 함을 강조

◦ 한국의 농식품부뿐만 아니라 유엔, 기타 다자 기관 등을 포함한 국가, 지역 및 글로벌 수준의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다시한번 강조

 

 

붙임3

 

「2022 글로벌 농업 ODA 포럼」포스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081f9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6pixel, 세로 913pixel

File
View Original URL View Original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Sources 농림축산식품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Prev [2022.12.07 / 로얄호텔서울 2F 로얄볼룸] 지속가능한 남북 그린데탕트 추진을 위한 협력 방안
Next [외교부]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 폐막
TOP